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400억원 규모의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사업자로 부산시가 선정됐다.
해양수산부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사업자로 부산광역시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는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지능화한 스마트양식장과 대량생산단지, 가공·유통·수출단지, 연구개발, 인력 양성 등 연관 산업이 모여 있는 대규모 단지다. 양식산업의 혁신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지역밀착형 생활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해수부에 따르면 최근 노르웨이 등 양식 선진국들은 수온·수질 등 최적의 생육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양식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수(水)처리 기술, 자동화 시스템 등 스마트양식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2008년 11건에서 2017년 66건으로 6배나 급증했다.
하지만 국내 개별 육상양식 어가의 대부분은 규모가 영세하여 스마트양식 도입 및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스마트양식 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연관 산업을 육성하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말 지자체 공모를 진행했다. 공모에는 부산광역시(기장군)와 경상남도(고성군), 전라남도(신안군)가 참여했다.
해수부는 사업자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이달 예비계획서에 대한 서류평가와 대면평가 및 현장평가를 거쳐 부산시를 사업자로 선정했다. 해수부는 “이번 사업대상자 선정에는 사업의 실현가능성과 추진의지, 사업시행 계획의 타당성, 사업 준공 후 운영관리계획 및 기대효과, 현장실사 결과가 종합적으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사업자로 선정된 부산시(기장군)는 해양수산 연구와 교육기관이 밀집한 입지 여건, 스마트양식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계획, 수산물 생산·유통·가공·수출·기자재 등 연관 산업의 발전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수부는 부산시와 3년간 총 400억원(민자포함)을 투입해 스마트양식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양식장을 조성하고, 취·배수시설, 상하수도, 전기시설 등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배후부지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해수부는 스마트양식이 활성화되면 인건비, 사료비 등 경비 절감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이 크게 높아지고, 양식업 종사자의 고령화 및 인력수급 문제도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한 첨단 양식기술을 적용해 적정량의 먹이를 제때 공급함으로써 수질환경을 개선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는 앞으로 전국에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3개소 조성을 목표로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올해부터 추진 중인 내수면 스마트 양식단지 조성사업(충북 괴산, 총 100억원)을 2020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