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축구장 4000개 규모의 바다숲 조서을 위해 올해 6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6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바다숲 3130ha와 말쥐치·문어 자원회복을 위한 산란장·서식장을 확대 조성하는 등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국정과제인 ‘깨끗한 바다, 풍요로운 어장’을 구현하기 위해 ▲바다숲 조성·관리 ▲수산자원 증대(산란장·서식장, 연안바다목장 확대) ▲수산종자 자원관리 ▲연어 자연산란장 조성 등 4개 분야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갯녹음 현상으로 사막화돼 가는 바다를 되살리기 위해 해조류와 해초류를 심고, 천연바다숲을 보전하여 바닷속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연안생태계를 복원한다. 갯녹음 현상은 기후변화 등으로 연안 암반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수산자원도 함께 감소하는 바다 사막화를 말한다.
또한 동·서·남해와 제주 해역에 총 22개소(동해 7개, 서해 6개, 제주 6개, 남해 3개) 3130ha 규모의 바다숲을 추가로 조성한다.
특히 자생다시마(동해), 큰열매모자반(남해), 참모자반(제주) 등을 활용하여 해역별로 특성화된 바다숲을 시범 조성하고, 이전에 조성했던 바다숲*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관리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고갈·감소 위기에 처한 말쥐치, 문어 등을 회복시키기 위해 각 품종의 생태와 어장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자연 산란장·서식장도 조성한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해까지 7개 품종에 대해 8개소의 자연 산란장·서식장을 조성했다. 올해에는 문어와 말쥐치의 산란장·서식장을 추가 조성해 11개소로 늘릴 예정이다.
물고기 등이 모여 살 수 있도록 인공어초 등 시설물을 설치해 최적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고 어린 물고기도 방류하는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해수부는 지난해까지 36개소의 연안바다목장을 준공했다. 올해에도 이전에 착공한 14개소의 연안바다목장을 지속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건강한 바다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주요 방류종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관리를 강화한다.유전적 다양성 조사·관리대상에 말쥐치를 추가해 11종으로 확대하고, 유전정보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여 방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하천으로 회귀하는 연어량이 지속 감소하고 있는 점을 감안 연어자원 보전 및 증대 방안으로 양양 남대천에 연어 자연 산란장을 조성한다. 올해는 하천 생태환경조사를 토대로 적지를 선정하고, 관련 법령에 따른 영향평가를 거쳐 기본계획과 설계서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