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강한 압박에도 중국 통신장비업에 화웨이가 세계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19를 통해 보안 위협을 일축하며 반격에 나섰다. 화웨이는 이번 행사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폴더블폰을 공개하고, “백도어 허용은 절대 없다”며 보안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 장비 사용금지를 확대하려는 미국에 맞서는 모양새다.
특히 전 세계 750개 이상의 통신사를 대표하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유럽 각국 정책 담당자들에게 “정책 중심을 잃어서는 안된다”는 서신을 보냄에 따라, GSMA가 사실상 화웨이 장비사용 배제 또는 금지 조치에 반대한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나타냈다는 평가다.
직접적인 반격에 나선 것은 화훼이 궈핑(Guo Ping) 순환회장이다. 그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9 기조연설에서 “보안과 관련한 업계 표준을 위해 국제 협력이 필요하고, 세계 각국의 정부가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의 의견을 보다 경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욱 안전하고, 빠르고, 스마트한 5G 구현’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궈핑 순환회장은 “사이버 보안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야 한다”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단순하며 지능적인 화웨이의 5G 네트워크 개발 과정을 설명했다. 궈핑 회장은 "화웨이는 대규모의 5G 네트워크를 처음으로 구축한 회사”라며 "우리는 가장 단순하지만 성능은 뛰어난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며 “화웨이는 분명 5G 분야의 리더이지만, 보안 없이는 이 모든 혁신의 가치도 없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궈핑 회장은 보안의 중요성을 수차례 언급하며 보안 강화를 위해 화웨이 장비를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궈핑 회장은 “모두를 위한 사이버 보안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준, 사실 기반의 규정, 그리고 협력이 필요하다. 우리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책임감, 통합된 표준 및 분명한 규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궈핑 회장은 “정부와 이통사들이 유럽의 검증 테스트 및 인증 체제를 합의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해야 한다는 최근의 제언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 화웨이는 과거에도 또 미래에도 백도어를 (설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화웨이가 “화웨이 장비 사용에 따른 보안 위협은 없고, 또 그렇게 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가운데 이번 MWC 2019에서 다양한 협력 사례를 연일 공개하고 있다.
우선 화웨이는 MWC 2019에서 열린 ‘GTI 어워드 시상식’에서 5G 상용화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마켓 디벨롭먼트 어워드’를 수상했다. GTI(Global TD-LTE Initiative)는 TD-LTE 상업화, 5G 기술 확산 및 업계간 혁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다.
이와 관련 화웨이 측은 “5G 기술 및 표준에 대한 장기간 투자와 기술 축적을 이룬 끝에, 3GPP 표준을 거의 상용화 단계까지 개발했으며, 코어망, 무선망, 5G 램프사이트(5G LampSite), 5G CPE 등 상용화 이전 단계의 5G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화웨이 측은 지금까지 업계에서 가장 많은 50개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사들과 5G 상용화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30개 이상의 5G 망 구축 계약을 성사시켰고 4만개 이상의 상업용 5G 기지국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화웨이는 MWC 2019 행사에서 보다폰과 함께 탁월한 5G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 공간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보다폰은 고성능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화웨이의 E2E 제품과 솔루션으로 상용 5G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기지국을 체험존에 구축했다. 해당 네트워크에서 화웨이 5G 스마트폰과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를 활용한 다양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통해 최고의 5G 서비스 경험을 제공했다.
실시간 네트워크는 바르셀로나 시티 센터에 구축됐다. 화웨이 5G E2E 제품과 솔루션은 지속적인 실시간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데 활용됐다. 화웨이에 따르면 C-Band 광대역 주파수 기준, 실시간 5G 시나리오에서 다운링크 최고 속도는 1.7Gbps였으며, 평균 다운링크 속도는 약 800Mbps로 측정되어 진정한 Gbps 환경을 구현할 수 있었다.
앞서 MWC 2019 개막 하루전날인 지난 24일(현지시간)에도 화웨이는 ‘Building a fully connected intelligent world’주제의 포럼을 통해 5G 폴더블 스마트폰과 화웨이의 5G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스페인 보다폰의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4K 비디오 구동을 시연했다. 화웨이는 이번 시연을 통해 5G 네트워크가 언제 어디서나 뛰어난 기가 비트(Gbit/s) 수준의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화웨이 통신네트워크 그룹 최고경영자(CEO) 라이언 딩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5G의 물결은 새로운 기술을 통해 더 나은 삶을 만들어 주고 있다. 이와 동시에 5G 네트워크로 가능해진 기가 비트(Gbit/s) 수준의 네트워크 접속 속도와 클라우드X(CloudX)는 이익을 창출하며 글로벌 이통업계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화웨이는 소비자들이 5G 시대에 걸맞게 5G 서비스를 경험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 랩(Open Lab)을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