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3년까지 해양심층수 산업 인프라 확충과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해 해양심층수 산업 규모를 40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12월 강원도 고성군에 건립되는 해양심층수산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해양심층수 관리기사 신설, 해양심층수 활용 다변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앞으로 5년간 해양심층수 산업의 정책 방향이 될 ‘제3차 해양심층수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해수부는 제3차 해양심층수 기본계획에는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된 제2차 기본계획에 대한 이행평가 결과와 기후변화‧웰니스(Wellness) 문화 확산 등 해양심층수 자원 활용여건,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시장 전망, 수요자의 요구 등을 고려한 새로운 정책 방향과 비전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이번 3차 기본계획 비전은 ‘해양심층수의 가치 제고를 통한 혁신성장 실현’이다. 이를 기반으로 ▲산업 인프라 확충 ▲제품군 다변화 및 신산업 개척 연구개발 확대 ▲산업경쟁력 및 자생력 제고 ④▲선제적 자원 및 환경 관리 등 4대 전략과 13개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해양수산부는 중점 과제를 적극 추진해 2023년까지 해양심층수 산업 규모 4000억원을 달성함해 고도 성장기로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너지 창출과 저변 확대에 주력한다. 올해 12월 강원도 고성군에 준공 예정인 ‘해양심층수산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 기업 지원, 관광‧레저, 판매‧홍보 등 시설이 집적된 ‘융‧복합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또 장기적으로 해양심층수 개발이 가능한 동해안 인근 시‧도 및 물 산업과 관련된 지방자치단체까지 산업이 확장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정부는 정보 공유 및 신규 유통망 확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해양심층수 관리기사(가칭)’ 신설 추진 등 체계적인 산업지원 환경 조성에도 나선다.
해수부는 또 먹는 물 위주에서 탈피해 해양심층수의 활용 다변화를 위한 신산업 개척 및 연구개발 확대에도 나선다. 이와 관련 바다숲 조성사업,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등 다른 사업과의 기술 융‧복합을 통해 해양심층수 관련 산업군을 확대해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해수부는 해양심층수 미네랄과 이를 활용한 제품의 기능성 입증 등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료소재 등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을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제3차 기본계획은 기존 먹는 물 중심의 산업구조를 탈피하여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는 등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에 시행되는 기본계획과 더불어 오는 22일부터 해양심층수처리수제조업이 신설되면 신규기업의 진입과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해 해양심층수 산업이 새로운 활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