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 30대 기업 직원 10명 중 여성은 2명으로,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5일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시가총액 상위 30개 기업(그룹사 포함)의 임직원 성비를 분석한 결과 남녀 성비는 평균 81대 19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남성 직원 비율은 ‘기아자동차’ 96.5%로 가장 높았다. 반대로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가장 높은 곳은 아모레퍼시픽(67.7%)으로 확인됐다.
기아차에 이은 남초기업으로는 포스코(남성직원 비율 95.0%), 현대자동차(94.8%), 현대모비스(89.0%), KT&G(88.5%), 롯데케미칼(87.4%) 등의 순이었다.
인크루트에 따르면 기아차와 포스코, 현대차에서는 직원 10명 중 여성 직원이 1명꼴에도 못 미치지만 아모레퍼시픽은 직원 3명 중 2명 가량이 여성 직원인 셈이다.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곳으로 LG생활건강(55.7%), 삼성생명(45.4%), 삼성화재(44.4%)가 꼽혔다. 이들 3개 기업은 곧 남녀 성비가 가장 비슷한 비율을 보이기도 했다.
남성 직원의 비율은 주로 ‘자동차‧기계‧화학’과 ‘제조’ 업종에서 높았다. 반면 여성 직원 비율은 ‘화장품‧금융’ 업종에서 높았다. 삼성전자의 경우 남녀 각 73.5%와 26.5%의 비율을 나타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여성 임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히기도 했다. 30대 기업 임원진의 성별 평균이 96 대 4인 반면, 아모레퍼시픽의 여성 임원 비율은 21%에 달했다. 화장품‧뷰티 업계 특성상 여성 비율이 많은 만큼 여성 임직원을 위한 다양한 배려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기도 하다.
LG생활건강 역시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해외 MBA 프로그램 선발 시 여성 직원이 더 많이 꼽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석 대상 30개 기업 임직원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비율도 함께 분석한 결과 평균 비율은 97대 3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KB금융지주(정규직 100.0%)였다. 이어 SK하이닉스(99.6%), 삼성SDS(99.5%), 삼성전자(99.4%), 기아자동차(98.9%), 한국전력공사(98.6%), 포스코(98.5%), LG전자(98.5%), LG화학(98.2%), 넷마블(98.1%)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 중 지난해 비정규직을 줄인 곳은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한국전력, 포스코, SK하이닉스 등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