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층의 귀농귀촌 촉진과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는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사업’ 신규 지역으로 충북 괴산군‧충남 서천군‧전남 고홍군‧경북 상주시 등 4곳이 선정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층의 귀농귀촌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사업’ 신규 지구 4개 시‧군을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우수 사업 대상지 발굴을 위해 전국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다. 공모 결과 12개 시‧군이 응모했으며, 시‧도 심사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 서면심사, 현장심사, 종합심사를 거쳐 최종 4개 시‧군이 선정됐다.
농식품부는 신청 시‧군별 대상지 입지여건 및 주위환경, 부지확보 여부, 주택 공급계획의 적정성, 임대수요 분석의 타당성, 사업추진 역량, 기존 자원 활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평가와 관련 사업의 성과 극대화와 지연 방지를 위해 사업부지 사전 확보, 청년들에 대한 스마트팜 혁신밸리‧농공단지를 비롯한 일자리 연계성, 입주민 정착 프로그램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했다.
농식품부는 선정된 4개 시‧군에 대해 농식품부 협의와 주민의견 수렴 등 사업준비 과정을 거쳐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이어 오는 2020년까지 총 80억2500만원(국비 50%, 지방비 50%)을 지원한다. 또 각 단지별로 30호 내외의 공공임대주택과 육아나눔 활동을 위한 공동 보육시설, 문화‧여가‧체육 활동 등이 가능한 커뮤니티 시설 등 부대시설이 복합된 주거단지로 조성된다.
농식품부는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귀농귀촌의 진입 장벽을 낮춰주고, 농촌으로 유입된 청년들이 안심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고령화‧과소화 등으로 소멸 위기에 놓인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겠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주거부담 완화를 위해 주택 임대기간은 최소 5년 이상으로 하고, 임대료는 단지 관리‧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으로 제한해 입주민이 주거 부담 없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농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또한 양육 부담 완화와 관련해 각 단지별로 입주민과 주변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여 영유아 놀이‧학습, 육아 품앗이, 부모 교육‧정보교류 및 친목 도모 활동 등이 가능한 공동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문화‧여가 환경 조성의 경우 입주민과 주변 농촌 주민들이 문화‧여가‧체육 활동 등을 공유하고,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시설도 설치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