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이기적이고 무례한 언사가 아닌가” vs “갑자기 이 분 왜 이러시는 걸까요?”
“그렇게 비아냥 거릴 문제가 이니다” vs “혁신에 승자와 패자는 없다”
지난 22일에 이어 23일에도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타다 이재웅 대표가 ‘혁신’, ‘전통산업과 혁신산업 갈등’을 놓고 맞붙는 모양새가 됐다.
최 위원장은 23일 타다 이재웅 대표를 향해 “그렇게 비아냥 거릴 문제가 아니다”라며 다시 쓴소리를 던졌다. 이에 이재웅 대표는 같은날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혁신에 승자와 패자는 없다”고 대꾸했다.
금융위원회 최종구 위원장은 23일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19’에 참석한 뒤 기자들을 만나 “혁신으로 피해를 보는 계층을 잘 돌보는 것도 정부의 역할”이라며 “그렇게 비아냥 거릴 문제가 이니다”라면서 전달 이재웅 대표를 향한 ‘무례한 언사’ 발언을 다시 이어갔다.
이에 대해 이재웅 대표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다시 “오늘 아침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좋은 말을 해주셨네요”라며 혁신산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시 한 번 밝혔다.
이날 최 위원장은 “정부는 민간 사업자의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렇지만 혁신과 변화로 인한 사회적 충격을 잘 관리해서 이로 인해 피해를 보는 계층을 잘 돌보는 것도 정부의 큰 역할”이라며 “혁심 사업자분들도 사회적 갈등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해 주시기를 바래 이야기를 꺼낸 것”이라고 전날 있었던 이 대표를 향한 발언의 취재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교통이라고 하면 금융위가 주무부처는 아니지만 금융위는 어느 부처 못지않게 혁신 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다.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함께 혁신에 따라오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어떻게 처리할지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라 (택시와 타다 문제를)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왔다”고 덧붙였다.
이재웅 대표는 페이스북 글을 통해 “오늘 아침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좋은 말을 해주셨다. 지금까지 제가 언론과 페이스북에서 주장하던 이야기를 잘 정리해주셨다”면서 혁신에 대한 입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우리 사회에 혁신은 필요하다. 하지만 혁신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산업이나 사람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 그 부분은 잘 보다듬고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전통산업이나 전통산업종사자들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돕고 거기에 혁신산업도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표는 “혁신은 혁신가 한명 혹은 기업 하나의 능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 인프라의 도움을 받아서 되는 것이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전통산업을 보다듬어 주고 혁신산업은 놔두었다가 혁신산업이 잘되면 세금을 많이 걷고 독과점 산업이 되면 규제하거나 분할하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그 과정에서 혁신산업이 전통산업을 도울 게 있으면 도와야한다는 것이 제 지론이고, 여러차례 언론과 페이스북을 통해서 밝힌 바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재웅 대표는 “주무부처 장관도 아닌데 제 주장을 관심있게 잘 읽어봐주셔서 고맙다”며 “아...한가지만 추가하자면, 혁신에 승자와 패자는 없다. 혁신은 우리 사회 전체가 승자가 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피해자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22일 최 위원장은 이재웅 대표가 택시기사의 분신에 대해 “죽음을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에 대해 “택시업계에 대해서도 상당히 거친 언사를 내뱉고 있는데, 이건 너무 이기적이고 무례한 언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택시업계가 공유경제라든지 이런 혁신사업으로 인한 피해를 직접 크게 입는 계층인데 이분들은 기존 법과 사회 질서 안에서 자기의 소박한 일자리를 지키겠다는 분들이다. 그분들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존중과 예의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에 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곧바로 “갑자기 이 분 왜 이러시는 걸까요? 출마하시려나? 어찌되었든 새겨듣겠습니다”라고 대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