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 구광모 회장이 “핵심 소재‧부품 경쟁력 확보가 LG의 미래 제품력을 강화하고 성장동력을 만드는 근간”이라고 강조하고 연구개발(R&D)에 역량을 집중하자고 강조했다.
LG그룹에 따르면 구광모 ㈜LG 대표는 지난 29일 대전에 위치한 LG화학기술연구원을 찾아 소재‧부품 분야 현장 경영에 나서 이같이 주문했다.
앞서 지난달 LG전자의 소재‧생산기술원을 방문한 구 회장은 제조와 생산 역량을 높이기 위한 장비기술 개발과 전략 등을 논의한 바 있다. 이어 두 달 연속으로 LG의 소재‧부품‧장비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장을 직접 찾았다.
이번 방문에 구 회장은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솔루블OLED ▲메탈로센 POE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차세대 소재‧부품 연구개발(R&D) 과제별 책임자들에게 개발 현황과 전략 등을 상세히 설명 듣고 논의했다.
구 회장은 “미래 R&D 과제를 제대로 선정하고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고객 최우선 경영 활동의 출발점이다. 단기적 관점에서 단지 해 볼만한 수준의 과제가 아닌 진정으로 고객 가치를 혁신할 수 있는 도전적인 R&D 과제, 또 고객과 시장 트렌드 변화를 철저히 반영한 R&D 과제를 선정해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방문에는 노기수 LG화학 CTO(사장),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사장), 권영수 ㈜LG 부회장,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대표(사장) 등이 동행했다. LG그룹 측은 “이 자리에서 구 회장과 LG 경영진들은 고객 가치를 높이는데 집중하는 것과 함께 소재‧부품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R&D 프로세스 혁신 등의 중장기 R&D 전략 방향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구 회장이 언급한 미래 성장을 위한 차세대 소재‧부품 분야 중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는 한 번 충전으로 500km 이상 주행 가능한 배터리다. LG그룹에 따르면 기존 1세대(160km 미만)와 현재의 2세대(320km 이상~500km 미만) 수준을 넘어, 내연기관 자동차와 대등한 주행거리를 갖춰 전기차 시대를 본격적으로 앞당길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다.
업계에서 2020년경부터 3세대 전기차 시장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화학은 “이차전지 업계에서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시 한번 도약하고, 시장을 주도해 나가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솔루블OLED’ 현재 LG가 이끌고 있는 OLED 대세화와 병행해 차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는 핵심 기술이다. 지난 4월 LG화학은 듀폰사로부터 기술과 연구, 생산설비 등 유‧무형자산 일체를 인수했다.
OLED 제조 시 기존 증착 방식(유기물질을 진공상태에서 가열한 뒤 증발한 상태로 패널에 붙여 제조)과 달리 용액 형태의 유기물질을 직접 패널에 분사해 만드는 방식으로 생산원가를 낮추고 양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메탈로센 POE(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Polyolefin Elastomer)’는 LG화학 등 전 세계 5개 화학사가 제조기술을 갖고 있는 메탈로센계 촉매기술 적용 플라스틱 합성수지다. 가공성이 뛰어나고 충격강도와 탄성이 우수해 자동차 내외장재 및 범퍼의 충격 보강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패널의 봉지재 등으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LG그룹 측은 “범용수지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고 있는 중국의 석유화학 경쟁사들과 차별화해서, 제품 고부가화를 가속화 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구광모 회장은 LG의 미래 준비를 가속화하기 위한 현장경영 행보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2월과 4월 한국과 미국에서 열린 R&D 석‧박사 초청 행사 ‘테크 콘퍼런스’에 참석해 우수 인재 확보에 공을 들인 바 있다. 4월 미국 방문 당시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LG테크놀로지 벤처스를 찾아 운영현황과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3월에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LG 어워즈(Awards)’에 참석해 뛰어난 고객가치 혁신성과를 창출한 팀을 시상하며 격려했다. 이어 7월에는 평택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을 방문해 제조와 생산 역량을 높이기 위한 장비 관련 기술과 전략을 살폈다.
이날 방문에서 구 회장은 “최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육성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LG화학의 R&D 성과는 국내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는 물론 전방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에도 직결되는 만큼, 자긍심을 갖고 연구개발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