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가 ‘강릉 가뭄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 수준을 2단계로 격상해 가동하기로 했다.
31일 강원도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선 여중협 도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의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가뭄 대응 중점 추진사항과 대처 계획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 대책을 구체화하고 소상공인 피해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농업용수 공급 중단에 따른 농작물 피해를 파악해 예방 조치를 취한다.
리조트 등 대형숙박시설이나 주요 관광지 등에는 절수를 요청했다. 도 교육청은 휴교·단축 수업 검토 및 급식 대책을 점검 중이다.
더불어 전국 살수차 응원 요청, 민간 기부 및 자원봉사 등 민간 부문과 협력해 가뭄 극복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강원도는 9월1일부터 재난사태 해제 시까지 강릉시에 팀장급 현장 상황 관리관을 파견해 재난 현장의 정보를 공유하고 가뭄 상황에 대처할 예정이다.
31일 오후 기준 시에 생활용수 대부분을 공급하던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14.7%다. 9월 상순까지 뚜렷한 비 소식이 없는 상태인 만큼 약 2주 후면 식수 및 농업용수 공급에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여중협 부지사는 “범정부 차원의 인력·장비·물자 지원을 통해 주민들의 일상생활 유지와 지역경제 안정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