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일환으로 30일 오후 2시부터 국민참여 지진대피훈련(제413차 민방위 날 훈련)‘을 실시한다.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10월28일부터 11월1일까지 진행되며, 중앙부처(30개), 지방자치단체(245개), 공공기관·단체(430개) 및 국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범국가적인 재난대응 훈련이다.
이번 지진 대피훈련은 전국의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각급 학교‧유치원‧어린이집 등 모든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민간시설은 다중이용시설, 재난취약시설 등 시‧군‧구별 1개소 이상에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시범훈련 형태로 실시할 예정이다.
훈련에 참여하는 기관은 대피훈련 전에 지진 행동요령을 안내하고, 대피 이후에는 심폐소생술, 소화기 사용법 등 안전 교육을 병행하여 훈련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훈련당일 오후 2시부터 라디오 방송(KBS 등 11개 방송사)을 20분간 실시하며, 훈련 참여자들이 야외로 대피하는 동안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정부의 지진대책도 함께 안내한다.
라디오 방송과 함께 훈련 시작을 알리는 민방위 경보(재난위험경보 사이렌 40초, 안내방송 20초)를 2시1분30초부터 1분간 울리고 별도의 차량통제는 실시하지 않는다. 지진 대피훈련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과 태풍 미탁 피해 복구를 위해 일부 지자체는 자체훈련이 제외된다.
훈련 제외 지역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집중 방역 지역인 경기도 파주시, 김포시,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고양시, 양주시, 이천시, 안성시, 용인시, 여주시, 화성시, 평택시, 의정부시, 가평군, 양평군과 강원도 철원군이다. 태풍 미탁 피해 집중 복구 지역(특별재난지역 선포 지역)은 강원도 삼척시, 강릉시, 동해시와 경북 울진군, 영덕군, 경주시, 성주군, 전남 해남군, 진도군이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