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단신] LG유플러스‧KT‧SK텔레콤

[통신 단신] LG유플러스‧KT‧SK텔레콤

기사승인 2019-12-10 10:06:42 업데이트 2019-12-10 10:06:47

◎LG유플러스‧국토지리정보원, 실시간 고정밀측위 서비스 협력 MOU 체결=LG유플러스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과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의 진화를 위한 기반에 마련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국토지리정보원과 LG유플러스는 ‘RTK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술 및 서비스의 유기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가기로 합의했다. ‘고정밀 측위(RTK, Real Time Kinematic)’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정밀지도 플랫폼(Dynamic Map)’, 나아가 C-ITS 사업의 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는 차량이 주행 중 운전자에게 주변 교통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의 사고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양측은 내달부터 실무협의단 구성‧운영 등 세부적인 협력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실시간 관측 원시 데이터 직접 연동 ▲RTK 서비스의 기술 테스트 공유 ▲위성기반 서비스 및 기술개발 계획 등에 관해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지난 9월 5G 자율주행 실증 사업에 ‘고정밀 측위(RTK, Real Time Kinematic)’ 기술을 도입했다. 이는 센티미터(cm) 단위로 위치정보를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어 경미한 접촉도 허용되지 않는 자율주행 산업의 핵심 기술로 평가 받는다.

RTK는 최대 30m의 오차가 발생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오차를 기준국 기반으로 보정해 더욱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위도, 경도, 고도 등 절대 위치값을 가진 기준국으로부터 GPS가 측량한 위치의 오차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차량으로 보내준다. 자율주행 이동체에서는 내부 RTK 수신 단말을 통해 측위결과에 보정정보를 계산해 이동경로나 주행전략에 활용하게 된다.

[용어]기준국(위성항법 보정시스템, Reference Station)=GPS 측량에서 절대좌표가 결정되어 있는 점. 기준점에 기준국용 GPS 수신기를 설치하여 측정된 위치값과 절대위치값을 비교하여 위성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한다. 기준국은 안테나 15° 상방에 장애물이나 무선 방송이 없어야 하며, 다중 경로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KT, ‘사내방송 KBN’ 5G 앞세워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3개 부문 수상=KT는 지난 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9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에서 KT그룹 사내방송인 KBN(KT Group Broadcasting Network)센터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상, 방송 부문, 웹사이트 부문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식에서 KBN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5G 보고서, 새로운 세상이 온다’는 올해 2월부터 6개월에 걸쳐 국내는 물론 독일과 일본을 찾아 각국의 5G 준비현황과 5G가 바꿀 미래의 모습을 잘 취재해 영상에 담아냈다는 점을 인정 받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KBN은 지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5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 지난 4월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100일 동안의 KT 5G 품질‧고객인식‧콘텐츠 중점 사항을 정리한 사내 기획방송 ‘5G, 지난 100일을 돌아보다’는 방송 부문 최우수 방송대상을, 5G 최신 동향을 그룹 내부에 전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임직원 사기를 끌어올린 ‘KBN 웹사이트’는 웹사이트 부문 웹사이트대상을 각각 수상했다.

◎SK텔레콤-통계청, 모바일 빅데이터 기반 유동인구 지도 공개=SK텔레콤과 통계청은 모바일 빅데이터 기반의 유동인구 지도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양 기관은 지난 5월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개발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이번에 첫 성과를 내놓게 됐다.

이번 서비스는 통계청이 보유한 인구‧가구 관련 공공 빅데이터와 SK텔레콤의 앞선 모바일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결합한 결과물로, 향후 보다 정확한 정책 통계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한 유동인구 지도는 전국 시·군·구별 유동인구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됐다. SK텔레콤의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선택한 지역의 인구 유입·유출 현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주중·주말 또는 월 단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구분석은 기존 설문조사 대비 인력과 예산이 크게 절감되며, 톨게이트 통행량이나 대중교통 이용자수 등을 활용하는 것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K텔레콤과 통계청은 향후 유동인구 지도를 고도화해 교통, 관광 등 인구 이동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거나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데도 폭넓게 활용하는 한편, 국가통계 수준으로 분석의 정밀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