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에 ‘주홍글씨’ 새긴 곳 광주 말고 또

소비쿠폰에 ‘주홍글씨’ 새긴 곳 광주 말고 또

목포시, 카드에 금액 인쇄 주민 생활 수준 공개…책임도 사과도 없어

기사승인 2025-08-26 16:04:30
목포시는 파란색 바탕의 선불카드 앞면 하단부에 노란색으로 카드 금액을 인쇄해 배부했다. 소득 수준별로 일반 시민은 18만 원, 차상위·한부모 가족은 33만 원,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43만 원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중 선불카드를 시민의 소득 수준별로 색상을 달리해 배부했다가 ‘인권 감수성이 결여됐다’며 여론의 뭇매를 맞은 광주시 외에 전남 목포시도 카드에 시민의 생활 정도를 고스란히 노출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목포시는 민원이 많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민을 상대로 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해 누구도 책임지거나 사과하지 않은 채 덮어버려, 인권 감수성 부족은 물론, 염치조차 없는 행정이라는 비판이다.

목포시는 파란색 바탕의 선불카드 앞면 하단부에 노란색으로 카드 금액을 인쇄해 배부했다. 소득 수준별로 일반 시민은 18만 원, 차상위·한부모 가족은 33만 원,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43만 원이다.

목포시는 금액이 표기된 선불카드를 광주 색깔 카드 논란으로 행정안전부가 ‘유사 사례시 조치’를 요구한 24일까지 모두 3만1000여 매를 배부했다.

이후 목포시는 별도 스티커를 제작, 부착해 금액을 유관으로 구분할 수 없도록 했다.

목포시 관계자는 “금액이 표기가 안 됐을 때 잘못해 섞여 나가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하니까, 나눠주는 데 편하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 인권보다 공무원들의 업무 편의가 우선 반영된 결과였다.

한편 광주시는 시민들의 소득 수준별로 소비쿠폰 선불카드를 3가지 색상으로 제작, 배부했다가 ‘반인권적 행태’라는 비판이 이어지는 등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일반 시민은 분홍색, 차상위·한부모 가족은 초록색,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군청색으로 구분했다.

시민들의 분노가 언론을 통해 보도됐고 지난달 23일, 대통령실까지 나서서 광주시의 행태를 질타하고 시정을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날 오후 강기정 시장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하고, 이미 제작된 카드에는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스티커를 부착해 배부하고, 새로운 카드를 제작 배부했다.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