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8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된 부산시가 16개 구·군에 디자인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디자인 도시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부산시는 27일 오후 고려제강 키스와이어 센터에서 '디자인으로 만드는 미래, 2028 세계디자인수도 부산'을 주제로 제7차 시민행복 부산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2028 세계디자인수도 부산’ 지정 이후 시민과의 첫 공식 소통의 자리로, 시민의 참여와 공감을 바탕으로 도시의 미래를 함께 디자인해 나가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김재운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 이갑준 사하구청장, 디자인 관련 전문가, 시민 공감 디자인단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시는 이번 회의에서 세계가 먼저 찾는 글로벌 디자인 문화·관광도시, 도시의 삶의 방식을 설계하는 도전과 혁신의 디자인 도시, 산업 혁신을 견인하는 디자인 선도 도시라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 과제를 중심으로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16개 구·군에 디자인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 추진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디자인을 활용해 도시재생, 사회통합, 교통·환경 등 복합적인 도시 이슈에 디자인을 접목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
시민이 참여하는 공공디자인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범죄예방디자인(CPTED), 범용(유니버설) 디자인 등 서비스 디자인 사업도 확대한다.
시민이 직접 지역 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디자인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확대 운영한다.
부산역·사상역 등 주요 관문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비우기 사업을 확대 추진해 불필요한 공공시설물을 정비하고 다대포 해수욕장 일원에 세계적 디자이너와 협업해 독창적이고 품격 있는 거리 디자인을 조성한다.
화명생태공원 등 주요 거점을 글로벌 야간 경관 명소로 개발한다.
국제 디자인 도시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국제 전시회, 디자인 콘퍼런스, 디자이너 교류 프로그램 등을 육성하고 세계디자인수도 시그니처 프로그램을 적극 기획·운영한다.
부산 중심의 통합 디자인 실행 플랫폼을 구축해 문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을 촉진한다. 온오프라인 공유 플랫폼을 통해 세계 시민과의 소통도 확대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028 세계디자인수도 부산 지정은 시민 모두가 함께 이뤄낸 소중한 성과이자 부산이 글로벌 디자인 허브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도시의 미래를 디자인하고 삶의 질을 높여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