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공급 과잉, 통상 환경 악화 등 여파로 국내 석유화학·철강업계가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러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서산시와 포항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정부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충남 서산시와 경북 포항시를 이날부터 2027년 8월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8일 충청남도와 경상북도는 지역 석화·철강산업 업황이 현저하게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각각 신청한 바 있다.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 절차에 기반해 신청서 검토, 서산·포항 현지 실사, 관계부처 및 지자체 실무 협의,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서산시와 포항시를 각각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산시의 경우 여수시에 이어 석유화학 산업 위기에 따른 두 번째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이다.
이번 지정으로 정부는 우선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우대와 함께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0억원 한도에서 3.71%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하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역시 7000만원 한도에서 2.68%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다.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비율도 대기업 설비 투자의 경우 기존 4∼9%에서 12%로 상향 적용되며, 중소기업 설비 투자의 경우 8∼15%에서 25%로 높아진다.
정책금융 기관은 중소기업 만기 연장·상환 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협력 업체·소상공인 대상 우대 보증 지원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2차 추경으로 신설된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산업위기지역 소재 주된 산업 관련 기업의 대출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이차보전,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추가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