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잠재성장률은 대체로 정권마다 1%포인트씩 추세적으로 하락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하락세 반전을 위한 해법으로 “적극 재정과 생산적 금융을 양대 마중물로 삼아 신 기술, 혁신 지원, 규제 개혁, 산업 재편, 인재 양성 등을 포괄하는 범정부 종합대책을 신속히 수립·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어떤 제약에도 얽매이지 말고 과감한 해법을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지표 개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7월 산업·생산·소비·설비 투자가 나란히 증가세로 전환됐고, 민생에 직결되는 소매 판매 역시 소비쿠폰 지급 효과에 따라 큰 폭으로 늘었다”며 “적절한 재정 투입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증명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잠재성장률이 1%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에서 이를 끌어올리지 않으면 어떤 정책도 반짝 효과에 그칠 것”이라며 근본 대책 마련을 거듭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