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3일 개최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열병식에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마주했다. 북·중·러 지도자가 톈안먼 망루(성루)에 함께 오른 장면은 66년 만에 재현됐다.
이날 오전 10시 중국 수도 베이징 톈안먼 일대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했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 푸틴 대통령은 톈안먼 망루로 향하는 길에서부터 앞장 서 이동했다. 김 위원장은 검은 양복에 금색 넥타이를 매고 오전 9시쯤 행사장에 미리 등장했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의 손을 잡으며 환영했다. 푸틴 대통령도 김 위원장에 이어 입장했다.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이처럼 한자리에 나란히 선 건 냉전이 종식된 이후 66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냉전 시절인 1959년 10월1일 신중국 건국 10주년 열병식에선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 김일성 전 북한주석,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함께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다섯 번째로, 2019년 1월 이후 6년 8개월 만이다.
이날 행사에는 원자바오 전 총리를 비롯한 중국 전직 지도부와 리창 총리를 비롯한 현직 지도부도 참석했다. 리창 총리가 개막사를 전하고 80발의 예포 발사와 국기인 오성홍기 게양이 이뤄지면서 80주년 전승절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시 주석은 이날 연설을 통해 “현재 인류는 다시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 협력과 제로섬 게임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중국 인민은 역사와 인류 문명의 진보라는 올바른 길에 서서 평화 발전의 길을 견지하고, 각국 인민과 인류 운명 공동체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 주석은 창안제(長安街)에 도열한 부대원들을 사열했고, 분열식에선 각 부대가 방진(네모꼴 형태의 진형)을 갖춰 톈안먼 광장 앞을 행진했다. 헬기 편대는 ‘중국 번영’ 메시지를 표어 등으로 선보였고 보병과 장비 등이 이를 뒤따르기도 했다. 관영 중국중앙(CC)TV는 이날 열병식을 생중계했고, 영상은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로 전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