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광명시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데다 특정 지역과 통신사 이용자만을 노렸다는 점에서 업계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에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일부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모바일 상품권 충전 등을 통해 총 62차례에 걸쳐 1769만원이 빠져나갔으며, 피해자 일부는 같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2일 기준 26명으로 모두 KT 이용자다.
처음 신고를 받은 광명경찰서는 해킹 범죄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사건을 이첩했다.
일각에선 일부 유통망이 고객의 개인정보를 탈취해 범행을 벌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정 지역과 통신사만 겨냥한 해킹 범죄가 드물다는 이유에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는 “특정 지역과 특정 통신사 이용자만을 겨냥한 해킹 범죄는 이례적”이라며 “피해자 중 일부가 같은 아파트 거주자로 알려진 것은 특히 특이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지난 4월 SK텔레콤 사이버 침해 사고 당시 유사한 금융사고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부산에 사는 60대 남성이 알뜰폰이 개통된 후 은행 계좌에서 5000만원이 빠져나갔다고 신고해 경찰이 수사를 진행했었다. 회사 서버 해킹으로 인한 금융사고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스미싱 공격으로 드러났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직 경찰의 조사가 진행 중이기에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일부 유통망에서 고객의 개인정보를 탈취해 진행한 범죄라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KT가 현재 해킹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욱 이슈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 역시 “일부 유통망에서 오프라인으로 문서를 빼돌리는 경우가 있다”며 “다만 해킹도 배제할 수 없어 경찰에서 수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KT 측은 “현재 사건은 경찰이 수사 중이며, 당사는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