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1인 가구가 39.9%로 집계됐다. 서울에 거주하는 10집 중 4집은 나 홀로 가구인 셈이다. 또 혼자 사는 가구 중 60세 이상 고령층 비율은 27.8%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도 이에 맞춰 맞춤형 복지를 제공할 방침이다.
시가 15일 발표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166만813가구로 전년 대비 3만3333가구 증가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9.9%를 차지하며 1년 전보다 0.6% 올라섰다. 2015년까지만 해도 20%대를 웃돌던 1인 가구 비중은 9년 사이에 10%p 늘어 40%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전체 가구 인원별 유형 중에서도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다. 이어 2인 가구(26.2%·109만555가구), 3인 가구(18.6%·77만2973가구), 4인 가구(12.3%·51만1523가구), 5인 이상 가구(3%·12만3638가구) 순이다.
나 홀로 가구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은 4집 중 1집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올해 기준 60세 이상 1인 가구는 총 467만 가구로 추산돼 전체 1인 가구의 27.8%를 차지했다. 앞서 2015년 22.1%에서 5.7%p 증가해 왔는데, 같은 기간 29세 이하 1인 가구 비중이 0.1%p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연령별로 1인 가구 비중은 60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많았고, 29세 이하가 24.5%, 30대 24.4%, 40대 12%, 50대 11.2%를 기록했다.
시는 이번 발표에서 1인 가구 형성 원인을 자발과 비자발로 나눴다. 자발적 1인 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스스로 독립해 구성된 1인 가구로, 새로운 소비 패턴을 주도하며 기업의 주요 타겟층이 된다. 그에 반해 비자발적 1인 가구는 이혼·별거·사별·기러기 가족 등 본인 의사가 아닌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형성된 가구를 뜻한다.
이에 시는 앞서 지난 2016년 전국 최초로 1인 가구 지원 기본 조례를 제정했다. 2021년에는 1인 가구 특별대책 추진단도 수립했다. 시는 “1인 가구·고령자 가구 증가에 대응한 맞춤형 돌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층에는 사회관계망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지난해 125만7057가구로 집계됐다. 일반 가구 중 고령자 가구 비율은 2017년 24.8%에서 2023년 29.2%로 매년 증가세를 이어갔고, 지난해 30.2%로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코로나19 이후 가족 구조와 가치관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해 고립·외로움 예방, 청년 주거 안정, 양육친화 환경 조성 등 시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