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버린 노동시장…“맞춤형 직업 훈련·취업 지원 필요”

늙어버린 노동시장…“맞춤형 직업 훈련·취업 지원 필요”

서울시50플러스재단, 23일 ‘중장년 정책 포럼’ 개최
서울 중장년층 인구 82.6% “새로운 일자리 희망”
중장년 구직자, 나이 들수록 ‘조건’보다 ‘일’ 중시

기사승인 2025-09-24 06:00:07 업데이트 2025-09-24 10:18:02
한 구직자가 지난 3월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서울시 4050 중장년 취업박람회’에 참석해 면접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유희태 기자

서울에 거주하는 4060세대 10명 중 8명 이상이 은퇴 후 재취업, 이·전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용 가능한 임금 수준은 낮아지고 정규직 선호도 줄어들었다. 구직 목적 1순위가 생계유지인 만큼 현실적 타협이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은 개인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기업 수요와 맞닿은 세대별 맞춤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2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을 열고 중장년 일자리 수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서울 거주 40~64세 중장년층 1만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실직자와 잠재적 구직자를 포함한 국내 최초의 대규모 설문조사다.

조사에 따르면 서울 중장년 인구(약 350만명) 중 289만명(82.6%)이 은퇴 후 재취업 등 구직 의향을 가진 것으로 추산됐다. 원하는 업무 조건은 연령별로 확연히 달랐다. 40대는 정규직 선호도가 86.8%로 압도적이었고, 4대 보험 가입 등 안정적인 고용 조건을 중시했다. 반면 60대는 무기계약직(49.3%)과 기간제(40.2%)도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희망 임금 또한 나이에 따라 달라졌다. 40대는 월평균 급여 439만원을 희망했지만, 50대는 364만원, 60대는 294만원으로 떨어졌다. 수용 가능한 임금 수준 역시 40대 371만원, 50대 32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60대가 268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사진 왼쪽에서 다섯 번째)이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제공

이날 발표된 또 다른 연구 결과에서는 중장년 채용 경험·의향이 있는 기업 429곳 중 75%가 200만~300만원대 월급을 지불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불 가능하다고 응답한 임금 수준은 200만원대가 42.1%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0만원대 32.9%, 400만원대 10.9% 순이었다.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경영학과 교수는 “수요·공급이 얼추 맞아떨어지고 있지만, 중장년 인력에 대한 기업의 만족감은 기대감보다 낮게 나타났다”며 “재취업을 위한 역량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단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중장년 취업사관학교’를 통한 맞춤형 직무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소랑 재단 정책연구팀 팀장은 “중장년 일자리 미스 매칭의 핵심은 기업 수요와 인력 공급이 불일치한다는 점”이라며 “기업이 원하는 역량 1위가 기술 역량인 만큼, 중장년 취업사관학교를 통해 기술 인재를 키우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설계도 주문했다. 조태준 서울대 산업인력개발학과 교수는 “연령대별 수요가 다른 만큼 차별화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며 “획일적 지원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세대·유형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청년과 노년 사이에 낀 중장년은 가족을 지키고 사회를 떠받쳐 왔지만 정책에서는 늘 뒷전이었다”며 “중장년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대한민국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 3월 전국 최초로 중장년 취업사관학교를 열어 중장년의 재취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노유지 기자
youjiroh@kukinews.com
노유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