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지를 당사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보내는 등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올해 2건 발생한 사실이 드러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질병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정보 유출 현황에 따르면 질병청에서는 올해 들어 2건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8월 1일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48명의 이름·성별·연령·체질량지수(BMI) 등이 담긴 결과지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24명에게 잘못 발송됐다.
해당 문자에는 결과지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URL)도 포함돼 있었다. 질병청은 사고를 인지한 즉시 URL을 차단하고 수신자들에게 자료 삭제를 요청했으며, 피해자 48명에게는 전화·문자 등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앞서 6월 25일에는 한국희귀질환재단이 주관한 ‘희귀질환 유전상담’ 심포지엄에서 배포된 자료집 100부에 환자 10명의 이름과 의심 질환명, 검사 결과 등이 담긴 채 배포됐다. 발표 자료를 준비한 연사가 개인정보를 삭제하지 않은 채 인쇄하면서 벌어진 일이었다.
현장 발표 화면에는 개인정보가 빠져 있었지만, 질병청은 다음날에서야 유출 사실을 확인해 자료집을 회수했다. 이후 환자들에게 개별 연락을 취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도 사고를 신고했다.
질병청은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전날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올해 두 건의 개인정보 유출을 적발 및 인지했으며, 이후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따라 조치 완료했다”며 “전산장애, 사이버공격 등에 따라 발생한 것은 아니며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번호, 전화번호 등의 유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이러한 유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이상행위 관리체계 강화,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운용부서 전수점검, 전직원 교육, 유출시 대응절차 재교육 등 개인정보 보호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김선민 의원은 “건강보험공단에 이어 질병청에서도 민감한 질병 정보가 유출됐다”며 “질병청은 국민의 건강 정보를 보유한 기관으로서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