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미 컵라면 다 나갔어요”…케데헌 열풍에 유통가 매출도 ‘골든’

“루미 컵라면 다 나갔어요”…케데헌 열풍에 유통가 매출도 ‘골든’

‘케데헌’, 한국 관광 가이드 역할…한식 등 체험형 콘텐츠 인기
GS25, 콜라보 제품 출시…CU, 김밥 챌린지 활용한 제품 선봬
“외국인 관광객 겨냥한 글로벌 IP 콜라보 이어나갈 것”

기사승인 2025-09-24 17:17:28 업데이트 2025-09-24 17:23:19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진열된 ‘케데헌’ 콜라보 삼각김밥·도시락 모습. ‘케데헌 신라면’은 품절돼 일반 제품만 진열되어 있다. 이다빈 기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적인 흥행을 이어가며 유통업계에도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단순 캐릭터 협업을 넘어 한국 관광과 한식 소비 확대까지 견인하며, K-콘텐츠의 영향력이 유통 현장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24일 기자가 찾은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는 케데헌 신라면이 모두 품절돼 일반 신라면만 진열돼 있었고, 점심시간 전임에도 케데헌 삼각김밥과 도시락은 각각 한개씩만 남아 있었다. 

편의점 점주 A씨는 “일반 신라면과 케데헌 신라면이 가격과 맛이 같은데도 매대에 함께 진열해두면 항상 케데헌 신라면이 먼저 빠르게 품절되어 버린다”며 “캐릭터 상품이라 어린 아이들이 좋아할 줄 알았는데 직장인들이 오히려 많이 사간다”고 말했다.

지난 6월20일 영화가 공개된지 3개월이 지났지만 케데헌의 인기가 식지 않는 분위기다. 케데헌은 케이팝을 소재로 여성 아이돌 그룹이 주인공이 돼 악마 사냥꾼으로서 악령과 맞서는 이야기를 담았다. 화려한 연출과 한국적 정서를 더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넷플릭스에 따르면 현재 공개 14주차에 2120만 시청을 기록하며 영어권 영화 전체 2위에 올랐다. OST ‘골든’은 빌보드 핫100에서 6주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통가도 케데헌 인기를 발빠르게 반영하고 있다. GS25는 넷플릭스와 손잡고 케데헌 협업 상품을 선보여 ‘참치마요&전주비빔 반반김밥’, ‘전주비빔&제육 커플 주먹밥’, ‘모둠 분식세트’ 등이 케데헌 패키징으로 순차 출시됐다. 지난 10일 우리동네GS 앱을 통해 하루동안 사전 예약을 진행한 결과 총 7000개, 약 4000만원의 예약 주문이 들어왔으며 17일 정식 출시 첫날에만 5만여 개가 판매됐다. 

GS25는 해외 관광객 방문이 많은 지역 내 8개 거점 매장을 ‘케데헌 특화 매장’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매장 내·외부 래핑 홍보물과 포스터, 등신대, 특화 매대 등을 마련해 시각적 재미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GS25 관계자는 “케데헌 같은 글로벌 IP와의 협업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약과 등 상품을 점포별로 전면 배치해 가시성을 높이거나, K-콘텐츠를 활용한 래핑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케데헌은 단순 캐릭터 협업을 넘어 한국 관광과 한식 소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영화 속 주인공들이 즐기는 음식과 한국 거리·명소가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되면서, 구글 트렌드에서 ‘Korean Food(한식)’ 검색량이 공개 직후 약 75% 증가했다.

이에 맞춰 편의점업계도 외국인 맞춤형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BGF리테일 CU는 주인공이 한 줄짜리 김밥을 통째로 들고 베어먹는 케데헌의 한 장면으로 유행이 된 ‘김밥 한입 먹기 챌린지’ 밈을 모티브로 한 ‘케이-통 소불고기 김밥’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외국인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은 소불고기를 재료로 넣었고 한눈에 통김밥 제품을 인지할 수 있도록 ‘No-cut beef bulgogi kimbap’이라는 문구도 명기했다. 편의점을 찾는 외국인 고객들이 해당 장면을 직접 연출할 수 있도록 기획한 것이다.

CU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바나나 우유 등 선호도가 높은 제품 발주를 증량했으며 마케팅과 프로모션 등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케데헌 열풍으로 따라온 한식에 대한 관심 증가는 매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CU에 따르면 케데헌이 방영된 이후 지난 7월과 8월 두 달간 해외 결제 수단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185% 뛰었다. 세부적으로 김밥 매출이 전년 대비 231%나 증가했다. 김밥의 전체 매출 신장률(29%) 대비 7배나 높은 수치로 방한 관광객들 사이 김밥에 대한 높은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케데헌에 다수 등장한 한국 전통 문양을 반영한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다이소는 자개와 민화 디자인을 적용한 팬시용품 ‘전통 시리즈’를 선보였다. 꽃, 나무, 사슴, 학 등 민화풍 일러스트에 자개 특유의 반짝임을 홀로그램 기법으로 표현해 한국의 감성을 살렸다. 스티커, 마스킹테이프, 키링 등으로 구성돼 활용도가 높고 외국인 기념품 수요도 겨냥했다.

이다빈 기자
dabin132@kukinews.com
이다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