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역서점 살리기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동네 책방’이 단 하나도 없는 지역이 전국에 6곳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서점이 1곳만 남은 소멸 위기 지역도 21곳에 달해, 지역민의 문화 접근성 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24년 지역서점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지역서점이 전무한 ‘소멸 지역’은 봉화군·순창군·울릉군·의령군·임실군·청송군 등 6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봉화군·울릉군·의령군·청송군은 직전 조사인 2022년에도 이미 소멸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역 서점이 단 1곳만 남은 ‘소멸 위험 지역’도 21곳에 달했다. 2년 전(30곳)보다 줄었지만, 지난해에는 보성군·영광군·영동군·인제군·합천군 등 5곳이 새롭게 소멸 위험 지역에 포함됐다.
지역서점은 출판 산업과 지역 문화, 시민의 독서권을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다. 단순히 책을 파는 공간을 넘어 문화 활동을 매개로 지역 공동체를 살리고, 문화 다양성을 넓히는 역할도 한다.
정부 역시 출판문화산업진흥법에 근거해 지역서점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며 지역민의 독서권 보장과 문화 접근성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문체부는 디지털 기반 컨설팅과 교육, 공동수배송 지원 등을 내세워 지역서점 지원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역서점이 문화 프로그램을 열 때 부담해야 하는 자부담 비율은 2022년 53.3%에서 2024년 68.2%로 오히려 늘었다. 지역서점 지원과 홍보의 기반이 되는 ‘지역서점 인증제’ 참여율도 같은 기간 77.0%에서 68.5%로 줄었다.
특히 영세서점의 절반 가까이(49.5%)는 연 매출이 1억 원 미만으로 집계돼 경영 부담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인구 감소와 고령화, 지역 불균형이 겹치면서 지역서점의 존립 기반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이는 정부와 지자체의 기존 지원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이기헌 의원은 “지역서점은 주민이 책을 사고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라며 “특히 군 단위 지역 서점의 소멸은 곧 지역 문화 기반의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지자체 조례 제정 확대와 지역서점 인증제 강화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출판문화산업진흥법에 따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격년제로 실시하는 전수조사다. 조사는 지난해 8월19일부터 10월25일까지 진행됐다. 대형 프랜차이즈, 종교서점, 전집 전문점, 만화 대여점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