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운용 합의…“지속적 논의”

한일 정상,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운용 합의…“지속적 논의”

저출산·고령화·국토균형 등 대응
외교당국 간 정례 협의

기사승인 2025-09-30 18:29:56 업데이트 2025-09-30 19:17:18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30일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정상은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저출산·고령화, 국토균형발전 등 양국이 직면한 공통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당국 간 협의체를 본격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협의체는 양 국의 관계부처가 주도하는 형태로 추진한다. 이는 양국이 지속적으로 협의체를 이행하기 위해 힘쓰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부산 APEC 누리마루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한 뒤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회담은 4시 49분에 시작해 1시간 20분 간 진행됐다. 

두 정상은 회담 직후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양국 관계부처가 주도하는 협의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당국 간 협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정책 경험과 성공사례를 공유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 의견도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양국은 △저출산·고령화 △국토균형발전 △농업 △방재 △자살 예방 등 사회 전반의 공통 과제를 논의·협력하기로 했다. 또 외교당국 간 정례 협의를 통해 협의체 전반을 총괄하고, 분야별 협의가 정책 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점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국 관계자 간 소통을 확대하고 다층적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회담은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 한일 정상외교로, 지난 5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8월 도쿄 회담에 이어 성사됐다. 특히 일본 총리가 지방 도시를 찾아 양자 정상회담을 연 것은 2004년 노무현-고이즈미 회담(제주) 이후 21년 만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부산 회담에 대해 셔틀외교의 복원과 정착, 지역 균형 발전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승은 기자
selee2312@kukinews.com
이승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