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추경으로 광주시 총예산 규모는 기정액 8조891억 원 대비 7.0%P 늘어난 8조6561억 원이다.
광주시는 정부의 경기부양 및 민생안정 기조에 발맞춰 고물가·고금리 등 복합 경제위기에 대응한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민생회복 지원, 국정과제 이행 기반 마련, 자연재난 대응 등 3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3683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556억 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지원 15억3000만 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39억 원, 어르신 스포츠시설 이용료 지원 5억9000만 원, 임신 사전 건강관리 1억8000만 원 등을 반영했다.
광주시는 이번 예산을 통해 사회적 약자 보호와 서민 가계 부담 완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미래 핵심 산업으로 꼽히는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모빌리티 AX실증랩 구축 10억 원,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전기획연구 1억5000만 원, 피지컬 AI기반 미래차산업 혁신클러스터 기획 4억 원 등을 반영했다.
이 사업들은 ‘AI 중심도시 광주’ 실현과 ‘미래산업 전환’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위기에 따른 여름철 폭염 및 폭우 등 자연재난에 선제 대응하고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호우피해 응급복구 10억 원, 호우피해 재난대책 204억 원, 집중호우 폐기물처리 재해복구 2억1000만 원, 전통시장 전기‧가스설비 복구 지원 700만 원 등을 포함했다.
또, 시민토론회를 통해 추진 의지를 밝힌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 예산(217억 원)과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지원예산(9억8000만 원)도 편성해 시민편의 향상과 교통복지 확대에 나선다.
한편 광주시는 이번 추경에 반영된 국고보조사업의 시비 매칭분에 대해 세출 구조조정과 국회 계류 중인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른 지방채 발행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하고, 연말 정리 추경에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