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완전자동화부두 2차 하역장비 제작… 2027년 하반기 중 본격 운영

부산항 완전자동화부두 2차 하역장비 제작… 2027년 하반기 중 본격 운영

서'컨' 2-6단계 현장 컨테이너크레인 6기 도입 
내년  6월까지 18회 걸쳐 장비 해상 운송

기사승인 2025-10-21 16:55:09
부산항 신항 서 '컨' 2-6단계 현장에 입고된 컨테이너크레인 하역부. BPA 제공.

부산항만공사(BPA)는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인 부산항 신항 서 '컨' 2-6단계 현장으로 국산 자동화 하역장비인 컨테이너 크레인 블록을 단계적으로 운송한다고 21일 밝혔다.

장비 운송은 컨테이너크레인 1대를 3부분(상부, 하부, 하역부)으로 나누어 바지선을 통해 진행된다. 

지난 15일 1항차 하역부 운송을 시작으로 내년 6월까지 6대의 크레인을 18항차에 나눠 운송한다. 1항차당 약 9시간이 소요된다.

BPA는 지난해 4월 개장한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신항 7부두)인 서 컨테이너(이하 서 '컨') 2-5단계 현장에 이어 2027년 하반기 개장을 목표로 서'컨' 2-6단계 부두 건설을 추진 중이다.

BPA는 2-6단계 현장 내 국산 자동화 하역장비 도입을 위해 사업비 1632억원을 들여 지난해 7월 HD현대삼와 컨테이너크레인 6기 제작계약을 체결했다.

장비 제작사인 HD현대삼호는 전남 대불공장 제작장에서 크레인의 기초 구조물을 우선 제작 뒤 이를 현재 임시 유휴상태인 북항 자성대부두로 운송해 크레인 블록을 제작 중이다. 

자성대부두에서 조립된 컨테이너 크레인 블록은 신항 서‘컨’ 2-6단계 현장으로 운송돼 컨테이너크레인 완성품으로 조립, 시운전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송상근 공사 사장은 "최적의 제작공정을 위해 제작사 및 부두 운영사와의 긴밀한 소통을 거쳐 제작, 운송 및 조립, 시운전을 체계적으로 추진 중"이라며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인 서'컨' 2-5단계에 이어 2-6단계의 성공적인 추가 개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손연우 기자
syw@kukinews.com
손연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