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종묘 차담회’, ‘경복궁 근정전 용상 착석’ 등 국가유산을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의혹 제기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국가유산청 등에 대한 전반적 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9일 국회 문체위 여당 간사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가유산청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를 앞두고 김 여사의 국가유산 사적 유용 의혹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임 의원은 ‘청와대 국악공연 황제관람’, ‘고궁 박물관 수장고 개방’, ‘경복궁 근정전 어좌 착석’ 등 주요 논란에 황성운 문화체육관광부 기조실장(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이 관여했다는 점을 꼬집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김 여사는 KTV 주최 청와대 국악 공연을 본인과 소수 인원만을 위해 비공개로 특별 관람해 ‘황제 관람’ 논란이 일었다. 해당 공연에는 8600만원의 세금이 투입됐다. 당시 황 실장은 행사에 김건희씨가 오는 줄 몰랐으나 혹시 몰라 그 자리에 미리 가 있었다고 답변한 바 있다.
김 여사의 고궁박물관 수장고 방문과 관련해서도 황성운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조정실장)이 직접 나서 박물관 측에 김 여사의 방문 일정을 통보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여사가 둘러본 제2수장고는 조선왕조실록 등 약 2100여 점의 유물이 보관되 있는 곳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제한돼 ‘비밀의 방’으로 불리는 장소다. 황 실장이 김 여사의 방문을 통보하면서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과 기록 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조율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9월 경복궁에 방문해 국보 223호 근정전 어좌에 착석했을 당시에도 최 전 국가유산청장과 황 실장이 배석해 있었다.
현재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관련 의혹을 수사하고 있지만, 의혹에 관여한 인물들이 문화체육관광부에 남아있어 부처 자체 내부 감사는 물론 조직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임오경 의원은 “김건희 씨의 ‘왕비 놀이’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 관계자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정황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며 “지금 드러난 것은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검 도입은 물론 문체부의 전반적인 감사가 필요하다. 부처 내 책임자들에 대한 인사 조치와 함께 철저한 조사 및 조직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