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금융위원회를 대상으로 진행된 국정감사가 맹탕 국감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케이뱅크 인가를 제외한 하나은행 인시 비리, 금융권 산별교섭 복원 문제 등 주요 이슈의 증인이 모두 해외출장으로 불참한 영향이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16일 금융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는 증인 요청을 받은 함영주 KEB하나은행장과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이 불참했다. 이들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국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하 회장과 함 행장은 연차총회 참석 후 이달 30일 열리는 금융위원회 대상 종합국감에만 참석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상대적으로 여론의 집중도가 높은 국감 당일 증인 출석을 피하기 위해 이들이 해외출장 길에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함 행장의 IMF·WB 연차총회 참석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당초 국회에서는 하나은행 인사비리 문제를 두고 하나금융 회장의 증인 출석을 요청했으나, 막판에 여야 간사 회의에서 증인이 함 행장으로 교체됐다.
함 행장은 하나금융 회장을 대신해 안종범-정찬우-하나은행으로 이어지는 인사 비리 문제에 대해 증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함 행장은 그동안 하나금융 회장이 직접 참석해 오던 IMF·WB 연차총회에 올해 이례적으로 참석하기로 결정하면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결국 이날 국감에서는 하나금융과 관련된 이슈가 전혀 다뤄지지 않았다.
이는 하 회장 역시 마찬가지다. 하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은행권 산별교섭 복원이 지연되는 배경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었으나 해외출장을 이유로 종합감사 출석만 약속했다.
아울러 이날 정무위 국정감사의 쟁점으로 부각된 케이뱅크 특혜 논란 역시 황창규 KT회장이 증인으로 요청되지 않아 속시원한 결과를 내놓지 못하면서, '맹탕' 국감 지적을 뒷박침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올해 4월 열린 ADB 총회에는 은행장들의 참석률이 저조해 하영구 회장이 직접 전화해 참석을 종용했을 정도인데, 이번 IMF·WB 연차총회에는 은행장들의 참석률이 높다”며 “국감 때만 되면 금융권 수장들의 해외 행사 참석률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