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6일 “지방은행도 해당 지역 구조조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경남·전북은행 등 시중은행이 선박금융을 외면하고 있다’는 김한표 의원의 지적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선박금융 잔액은 2012년 14조9105억원에서 올 6월 21조700억원으로 41.3%(6조1595억원) 급증했다. 이 가운데 산업은행의 대출 잔액이 1조7000억원 증가한 반면 시중은행의 대출잔액은 2조3000억원으로 대폭 축소됐다”며 “외환위기 당시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등 국민의 혈세로 위기를 버틴 시중은행들은 이처럼 어려울 때 빠져버린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경남은행과 전북은행은 아예 선박대출을 취급하지 않는다. 국가 위기를 겪고 있는 이 상황을 그냥 흘려도 되는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이에 대해 “불황의 강도가 깊으니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꺼리게 된 것 같다. 어려움을 겪는 산업에 대해서는 정책금융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해당지역에 투자하는 지역은행들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여기에 김 의원은 “우리 혈세로 살려놓은 은행이 나 몰라라 하면서 건전성을 따지는 게 맞는가. 어렵지만 함께 고통을 분담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최 위원장은 “최근에 당면한 과제인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되기 위해 은행이 역할해주길 바라고, 경남은행의 경우 참여의사를 밝힌 걸로 알고 있다. 계속적으로 독려해주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의원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은행의 선박금융 대출은 각각 2012년 7039억원, 8774억원, 5147억원에서 올 6월 대출잔액이 3316억원, 4895억원, 2158억원 수준으로 반토막 됐다. 기업은행의 선박금융대출도 2012년 1939억원에서 921억원으로 절반 넘게 줄었으며, 경남은행과 전북은행 등 지방은행들은 선박금융 대출 자체를 취급하지 않고 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