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1조원이 넘는 손실에도 대우건설 매각을 강행한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불가피하게 취득가액 이하로 매각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면서도 “매각 가격에 구애받지 않고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 10월 13일 메릴린치와 미래에셋대우를 공동주관사로 선정하여 대우건설 매각공고를 내고 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 50.75%를 전량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지난 2010년 사모펀드를 조성하여 1주당 1만1123원에 1조원, 2011년 1주당 1만8000원에 2조1785억원 등 총 3조1785억원 규모, 총 2억1100만주의 지분을 취득했다.
결과적으로 1주당 평균 1만5000원에 대우건설 지분을 취득하여 이번 매각에서 주식 가격과 경영권프리미엄 가격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서 손수익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현재 대우건설 주가는 최근 3개월간 최저 6760원, 최고 8320원 등 7천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어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하더라도 큰 손실이 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유한국당 김선동 의원이 분석한 결과 산은이 현재 주가 7000원 수준에서 대우건설 매각을 하게 되면 손실규모는 최대 1조3323억원에 달한다.
산업은행의 손실이 불가피해 지자 이날 국감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은 “대우건설 매각가격이 취득가격 대비 낮다는 이유로 매각을 중단할 수 있냐”고 질문했다.
이 회장은 "대우건설의 매각 목적은 경영 역량을 가진 사람이 대우건설을 인수해 장기적으로 기업을 키우는 것으로, 매각가에 구애받지 않고 매각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김선동 의원은 “산은이 정책자금을 투입하여 인수한 대우건설인데 1조원 규모의 매각손실이 나도 구조조정 실패에 대해서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며, “대우건설 매각에 해외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지만 기술유출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저가로 매각되었을 때 국부유출이라는 비난 여론이 커질 수 있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