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대 은행이 지난해 금융사기 예방 활동을 통해 지켜낸 고객 재산이 570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통해 수상한 거래를 잡아내거나, 영업 현장에서 은행 직원의 기지로 금융사기를 예방한 성과다.
1일 각 은행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에서 지난해 FDS와 영업점 현장 모니터링 등을 통해 예방된 금융사기 피해규모가 574억2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사기 피해예방 규모는 개인고객 거래가 많은 국민은행이 189억5000만원으로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뒤이어 우리은행이 168억원, 농협은행이 117억원7000만원 규모의 피해예방 규모를 보였으며,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72억원과 27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에 나선 것으로 각 은행은 파악하고 있다.
은행들의 이같은 노력은 보이스피싱의 연간 피해규모만 2000억원에 달하는 등 금융사기로 인한 고객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특히 과거 노년층을 대상으로 성행하던 금융사기는 최근 방식이 교묘하고 다양해져 성별과 연령에 무관하게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지난해 한 20대 여성은 보이스피싱에 속아 8억원을 사기당했다. 이는 보이스피싱 개인 피해액 가운데 역대 최대금액이다. 여기에 최근에는 가상화폐나 자동응답시스템(ARS),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는 고도화된 보이스피싱도 등장해 피해자들을 울리고 있다.
은행들은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근 FDS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해 이상거래 탐지율을 올리고 있다. 또 전담 모니터링팀을 신설하거나 금융당국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조를 통해 금융사기 피해 예방에 나서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은행이나 금감원, 수사기관 직원이라며 돈을 보내라고 요구하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 봐야 한다”며 “주변에 통화 내용을 밝혀 도움을 받고, 해당 기관 대표 번호로 연락해 사실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