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의힘 신임 당 대표로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성향의 장동혁 대표가 선출된 것을 두고 “도로 내란당”이라고 비판했다. 정 대표가 그동안 ‘내란 종식’을 외치며 강경 행보를 이어온 만큼, 여야 대치가 한층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 대표는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대한민국에는 야당이 없고 극우 세력만 득세하는 상황”이라며 “전체적인 국가 이익의 관점에서 매우 안 좋은 정당의 모습을 되풀이하는 ‘윤석열당’, 도로 ‘내란당’이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 어게인’을 주장해 도대체 무엇을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 개전의정(범죄자가 잘못을 깊이 반성하는 태도)이 없으니 정상참작의 여지도 없다”라며 “이럴 때일수록 우리가 이재명 정부의 성공과 내란 종식을 위해 더 똘똘 뭉치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그간 내란 사과와 반성 없이는 야당과 협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는 이날 오전까지도 장 대표 선출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가겠다”라고 자리를 떴다. 또 취임 직후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예방을 거절하고 광복절 경축식에서도 송 원내대표와 인사를 나누지 않는 등 거리를 둬왔다.
국민의힘은 정 대표의 ‘도로 내란당’ 발언에 “대꾸할 가치조차 없다”고 맞받았다. 장 대표 역시 이날 취임 후 첫 의원총회에서 “이제는 과감히 옷을 벗어던지고 여당을 견제하며 이재명 정권과 맞서 싸우는 일에 힘을 모아야 한다”라며 강경 투쟁 기조를 분명히 했다.

여야 모두 강경파 지도부가 전면에 나서면서 갈등이 심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장 대표가 협상 테이블을 열어두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정 대표도 장 대표에게 ‘축하난’을 보낸 만큼, 계기만 마련된다면 협치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앞서 미국으로 향하는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탄파라도 야당 대표와 끊임없이 대화하겠다는 입장이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절차를 거쳐 선출된 공식적인 야당 대표와는 당연히 대화해야 한다”며 “야당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여권 안팎에서는 이 대통령이 조만간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한미 정상회담 성과를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과정에서 정 대표와 장 대표가 함께 자리하는 만큼 자연스러운 악수가 이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특히 정 대표는 “(국민의힘 위헌정당 해산 심판 청구 추진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하지 말라고 하면 그때는 심각하게 고민하겠다”라며 대통령의 뜻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만약 이 대통령이 협치를 주문한다면 얼어붙은 정국을 해소할 돌파구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