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농장과 건설현장, 공공하수처리시설 등 질식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고위험 작업장에 대한 ‘질식위험도’ 조사 결과 양돈농장이 질식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의왕·과천)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실시된 ‘질식 3대 위험영역 위험도 조사’ 결과 조사대상 1만8602개 사업장 중 12.4%인 2309개 사업장이 ‘질식 고위험군’으로 평가됐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양돈농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안전공단에 따르면 중독·질식으로 상해를 입은 노동자는 2015년 25명, 2016년 36명, 2017년 4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위험도 등급 평가 기준은 ▲환기시설 보유 여부 ▲가스농도 측정기 보유여부 ▲질식위험 인지도 수준 등 세 가지로 구분됐다.
이 중 양돈농장의 경우 가스농도측정기 보유율은 단 9.1%에 그쳤고, 환기시설 보유율도 36%로 나타나 질식을 예방하기 위한 설비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현장의 경우도 가스농도측정기 보유율 21.2%, 환기시설 보유율 29.9% 수준으로 매우 미흡했다.
지역별로 고위험군 농장은 충청·대전지역이 476개로 가장 많았고, 광주와 호남지방 307개, 대구·경북 192개, 경기·중부, 161개, 부산·울산·경남 139개 순으로 나타났다.
신창현 의원은 “매년 질식으로 인한 재해가 늘고 있는 만큼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지도감독 강화, 영세사업장에 대한 정부지원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