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최근 대한이식학회와 공동으로 삼성생명 일원동빌딩 히포크라테스홀에서 ‘복강경 간 공여자 200례, 간이식 2000례’ 기념 심포지엄을 열었다.
삼성서울병원 측은 “1996년 5월 ‘뇌사자 기증 첫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이래, 2001년 ‘국내 최초 무수혈 간이식수술’과 2002년 ‘국내 최연소 생체 간이식 수술(생후 3개월)’에 성공하며 국내 간이식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2000년 100례, 2005년 500례, 2010년 1000례, 2014년 1500례 달성에 이어 2016년 첫 심장‧간 동시 이식에 성공하고 2018년 2061례 수술 달성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생체 간 공여자의 안전 및 흉터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난 2013년 ‘공여자 간 복강경 절제술’을 시작했다.
2018년에는 생체 간 공여자 106 건 중 89%인 94건 대상으로 복강경 간 절제술을 시행해 현재까지 총 223건의 복강경 간 공여자 절제술을 기록했다. 병원 측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복강경 간 공여자 절제술을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그 동안의 업적을 기념하며 국내 외 전문가들이 참석해 간 질환과 간이식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 등을 공유했다.
해외초청 연자로 참석한 다니엘 아줄레(Daniel Azoulay) 프랑스 Paris Est Creteil대학 이식외과 교수는 ‘노인 간 이식’에 대해, 토루 이케가미(Toru Ikegami) 일본 규슈대학 이식외과 교수는 ‘우리의 생체간이식 방법이 20년동안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했나’ 주제를 발표했다.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조재원 교수는 “간질환치료에 있어 간이식은 최종병기다 라고 하는데, 간이식으로 인해 간암환자가 예후가 많이 향상됐다. 간이식 중 간암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0%로 간암환자 생존율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간암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간이식 2000례 달성을 자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