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아시아나항공의 항공기 타이어 파손, 대한항공 여객기 회항 등 연이어 발생하는 항공기 비정상운항과 관련해 두 항공사에 철저한 안전관리를 해 줄 것을 주문했다.
국토교통부는 12일 오전 권용복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경영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항공안전 회의’를 열고 이같이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국토부는 최근 아시아나항공 재무상황 악화와 대한항공 최고의사 결정권자 부재로 인한 안전약화에 대한 우려의 뜻을 전했다.
특히 지난 9일 광주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항공기 타이어 파손)과 11일 대한항공 항공기 이륙직후 엔진이상으로 인한 회항 등 비정상운항이 연이어 발생해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국토부는 “항공안전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해소시키기 위해 운항‧정비 등 항공운항 관련 모든 분야에서 철저한 안전관리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국토부는 결함이 잦거나 안전에 문제가 있는 항공기는 비행 투입을 전면 보류하고, 충분한 정비시간을 갖도록 비행계획을 조정하는 등 정교한 안전관리를 주문했다.
국토부는 “항공사 마다 사업계획 및 노선인가, 항공기 등록 등 각 단계마다 조종사‧정비사 채용, 훈련, 예비품 등 안전확보 상태를 미리 확인하고 있다”면서도 “만약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행정처분, 노선배분제한 등 항공 관련 법령상 국토부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비정상운항 시에는 승객들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하고 현재 항공사에서 보유한 각종 매뉴얼이 현실에 적합한지를 다시 확인해 줄 것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 측은 최고경영자 부재에 따라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으며, 안전저해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각 부분별 세부 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비정상 운항이 증가한 엔진 고장 등 취약분야 개선을 통해 항공안전을 증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권용복 항공정책실장은 “항공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현장의 작은 위해요인도 철저하게 검토하고 개선해 항공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관리체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