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퇴사 후에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여행’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은 직장인 12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퇴사를 고민해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한 직장인 중 무려 91%는 ‘그렇다’고 답했다. 퇴사를 고민해보지 않은 직장인은 9%에 불과했다.
퇴사가 고민된 이유는 다양했다(복수선택). 가장 많은 득표를 받은 항목에는 연봉(16%)이 꼽혔다. 상사‧직속 상사, 조직분위기‧회사문화가 각 13%의 응답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업부(12%), 복리후생(10%), 기타 근무여건(9%), 동료‧직원들(7%), 야근(6%), 출퇴근 시간‧거리(5%), 학업‧진학에 대한 미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 퇴사 사유에는 특징들이 발견됐다. 퇴사하려는 이유로 대기업 재직자는 업무(15%)를 가장 많이 꼽았지만, 중견중소기업 재직자는 공통으로 연봉(각 17%)을 1위로 선택했다.
또한, 복리후생 때문에 퇴사를 고민했다는 응답의 경우 중소기업에서 11%였지만, 대기업의 경우 6%에 그쳤다. 인쿠르트 측은 기업 규모가 작아질수록 복리후생에 대한 고려도가 커지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한 동료‧직원들 때문에 퇴사를 고민했다는 응답률은 중소기업 7%에 비해 대기업은 10%응답률을 보였다.
직장인이 퇴사 이후 희망하는 것은 ‘여행’이 31% 지지로 1위에 꼽혔다. 이어 자기계발(배우고 싶었던 것 배우기)과 대기업 입사준비가 각 15%로 공동 2위에 올랐다
대기업 입사를 준비하겠다는 비율은 여성(13%)보다는 남성(20%)이, 중견기업 재직자(23%)에게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인쿠르트는 앞서 중견기업 재직자들이 ‘연봉’을 이유로 퇴사를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는데, 대기업 이직 의사가 높은 점도 마찬가지로 같은 이유일 것으로 풀이했다.
퇴사 이후 희망하는 그 밖의 것들로는 ‘잠’(늦잠‧낮잠, 8%), ‘공무원 시험 준비’(7%), ‘창업’(6%), 유학(5%), ‘운동’(4%), 그리고 ‘대학교‧대학원 진학’(3%) 순으로 집계됐다. 순위권은 아니었지만, 기타답변을 통해서는 ‘좋은 직장으로 이직’, ‘업직종 전환’, ‘잠시 휴식 후 재취업’ 등 마찬가지로 퇴사 후 재입사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3월22일부터 24일까지 진행, 인크루트와 알바콜 회원 총 1408명이 참여했고 그 가운데 직장인 회원 1206명의 응답을 참고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6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