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시위는 7일 발표한 성명에서 "현재 강릉은 일부 아파트와 숙박시설 등 124곳에서 제한급수가 시작됐고, 오봉저수지 저수율도 13%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군·소방·지자체가 전국적으로 급수 지원에 나서고 시민들도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는데, 정작 시장은 국회 예산위원장과의 협의마저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당은 제22대 국회 한병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8일 강릉시청을 방문해 예산 협의를 추진하려 했으나 무산됐다고 밝혔다. 강릉시위는 "시장 일정이 어렵다면 부시장이라도 협의에 나설 수 있었지만 이마저 거부하면서 결국 협의 자체가 불발됐다"며 "시민 고통을 외면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강릉시위는 또 "강릉의 가뭄은 전 국민이 걱정하는 국가적 재난"이라며 "특별한 상황에는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고, 특별대책은 결국 특별예산으로 이어져야 한다. 여야가 따로 없는 초당적 협력으로 긴급 재정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에는 시민 정서에 호소하는 메시지도 담겼다. 위원회는 "시민들이 절수에 동참하며 버티고 있는 만큼 시장 역시 정파적 유불리를 넘어 중앙정부·정치권과 힘을 모아야 한다"며 "20만 시민의 삶을 지켜내는 데 모든 정당이 함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강릉시 관계자는 "현재 강릉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정치적 이해관계와 무관하게 중앙정부와 국회, 모든 정당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방문 역시 환영한다. 시민을 위한 일이라면 언제든 논의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