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협력업체 상생‧광주형 일자리, 현대차그룹 정부차원 적극 지원”

김상조 “협력업체 상생‧광주형 일자리, 현대차그룹 정부차원 적극 지원”

기사승인 2019-06-03 14:18:22 업데이트 2019-06-03 16:38:01

김 위원장 “상생협력 확산 위해, 개별 그룹과 자주 만날 것”

정부가 현대자동차그룹이 추진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수소 생태계 구축, 협력업체와의 상생 방안 지원에 적극 나선다. 이와 관련 현대차그룹은 올해 부품업체 회사채 발행 지원 등 협력사 경영안정화와와 친환경‧미래자동차 부품 육성 지원 등 3대 상생협력 방안을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공정거래위원회 김상조 위원장은 3일 오후 2시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을 찾아 박한우 기아자동차 대표이사 등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협력사와의 상생’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상조 위원장 “현대‧기아차, 모범적 상생협력 사례 만드는데 선도적 역할 해야”

이번 간담회는 수소‧전기차, 자율주행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한 자동차 업계의 미래 대비 전략을 듣고 협력‧유관업체와의 상생,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현대자동차 그룹의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상조 위원장은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전환기를 맞아 우리나라 자동차 대표기업인 현대자동차 그룹이 다가올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야말로, 협력‧유관업체와의 상생 및 좋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관건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대차그룹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수소 생태계 구축과 협력업체 상생 및 광주형 일자리 사업 등 미래를 대비한 그룹의 정책에 대해서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현대‧기아차 그룹이 앞으로 미래차 사업을 육성함에 있어 지자체, 근로자, 지역주민 등과의 상호협의를 통해 지역과 기업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 일자리 모델이 발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을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 경영안정화와 친환경·미래형 부품산업 재도약 위해 3대 지원 프로그램 추진

간담회에서 기아차는 자동차 산업 변화에 대비한 그룹 차원의 대응 방향과 함께 현대자동차 그룹의 상생협력 사례, 향후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기아차 신동수 상무는 그룹차원의 미래 친환경 자동차 개발방향, 지역별 MaaS(Mobility as a Service) 사업 확대, 자율주행 상용화, 인공지능(AI)‧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커넥티드카 보급 계획을 소개했다. 이어 기아차 이동원 상무는 현대자동차 그룹 협력사의 글로벌 경쟁력 육성, 지속성장 기반 강화 및 동반성장 문화 정착 등 상생협력 3대 추진 전략 및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확대를 위해 올해 ▲경영안정화 지원 ▲친환경‧미래차 부품 육성 지원 ▲1~3차 협력사 상생 생태계 강화 등 3대 지원프로그램을 추진한다.

협력사 경영안정화 지원과 관련 현재차그룹은 150억원을 출연 정부 회사채 발행 지원프로그램 참여해 부품업체 회사채 발행을 지원한다. 또 협력사 자금지원을 위해 신규로 ‘미래성장펀드’ 1400억원을 조성한다.

‘친환경‧미래차 부품 육성 지원’과 관련해서는 내년 1월부터 1~3차 협력사 임적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상생협력센터’를 운영한다. 또 올해부터 내년까지 넥쏘차량 증산 에 440억원을 투입하는 등 수소차 증산 투자비를 지원한다.

또 현대차그룹은 1~3차 협력사 상생 생태계도 강화한다. 상생결제시스템을 1차 협력사에서 2‧3차 협력사로 확대하고, 2‧3차사 경쟁력 강화를 지원해 자립기반 조성을 돕는다. 이와 관련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1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지원(800여개사), 수출마케팅 지원(240여개사)에 각각 150억원과 30억원을 투입한다.

김상조 위원장은 “최근 자동차 생산‧수출 감소 등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협력업체들의 애로사항도 많아지고 있다. 과거 조선업은 세계경제 불황, 경쟁국 추격 등 외부적인 요인 외에도 대형사에 편중된 산업구조, 연관 산업 내 상생협력 미흡 등 내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된 바 있다”면서 “자동차 산업이 조선기자재 산업의 전철을 밞지 않도록 현대자동차 그룹의 상생협력 문화를 2차 이하 협력업체까지 확산시켜 중소 부품업체의 미래 대비 경쟁력을 강화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광주형 상생 일자리 사업이 조기에 안착할 수 있도록 현대자동차 그룹이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정부와 기업간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상생협력 문화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만나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수시로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