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전남도에 따르면 코로나19로부터 지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지키기 위해 한 뿌리인 광주시와 유기적인 ‘병상 나눔’ 체계를 구축, 환자 상태에 따른 체계적인 분산 배치로 위중증 환자의 부족한 병상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두 시‧도는 ‘병상 나눔’을 통해 위‧중증 환자는 음압시설을 갖춘 광주의 전문병원으로, 무증상과 경증환자는 전남의 공공의료원 등 전담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로 분산 배치하고 있다. 경증환자 치료시설이 없는 광주와 위‧중증 환자 치료시설이 부족한 전남이 협치를 통해 병상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셈이다.
전남도와 광주시가 ‘병상 나눔’을 통해 공동으로 확보한 치료병원 및 시설은 8곳으로, 총 424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날 오전 현재까지 광주‧전남지역 누적 확진자는 총 537명이다. 이 중 209명이 음압시설을 갖춘 국가 지정병원과 의료원을 비롯한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시설별로 국가 지정병원은 전남대‧조선대‧화순전남대병원 등 3곳으로, 22병상을 확보했다. 현재 환자 15명을 치료중으로 7명을 더 받을 수 있다. 앞으로 건강이 호전되거나 악화 가능성이 낮은 환자는 전담병원으로 옮겨 여유병상을 10개까지 확보, 위중환자 발생시 긴급히 대처함으로써 지역민 불안감을 덜어줄 방침이다.
중증환자를 치료하는 광주 빛고을전남대병원은 89명이 입원할 수 있다. 현재 50명이 입원해 39병상이 남아있다.
경증환자가 입원한 전담병원은 순천‧강진의료원과 목포시의료원 3곳으로 230명을 치료할 수 있다. 현재 127명이 입원해 103명을 추가 수용할 수 있다. 무증상 및 경증 환자를 돌봐줄 생활치료센터는 나주 소재 한전KPS 인재개발원 1곳으로 83명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 17명이 입소해, 66명을 더 받을 수 있다.
한전KPS 인재개발원 생활치료센터는 최근 광주‧전남지역에서 집단감염이 급증함에 따라 지난달 31일부터 운영했다. 인근 나주 주민들이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해 큰 마찰 없이 순조롭게 운영, 병상 부족 문제 해결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전라남도와 광주시의 협치로 당분간 병상 확보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광주와 전남은 공동생활권으로, 확진자 동선이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광주시청 방역상황실에 매일 직원을 파견해 확진자 이동경로 및 접촉자 등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치료 병상 역시 상대적으로 전문병원이 많은 광주와 공공의료원 등 전담병원이 많은 전남이 유기적인 ‘병상 나눔’ 체계를 갖춰 서로 부족한 병상문제를 해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나눔체계를 계기로 앞으로도 시도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하는 과제를 발굴해 공동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생활치료센터와 관련 “나주시민들의 따뜻한 배려심으로 운영되는 만큼, 시민 안전을 위해 방역관리를 철저히 하고, 입소자들에게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해 시민과 확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라남도는 지난 3월 대구지역에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할 당시 환자 30명을 순천의료원으로 이송해 치료를 해주기도 했다.
news03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