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주시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폭염 종합대책을 가동하고, 살수차 운행부터 무더위쉼터 확대, 취약계층 보호까지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8일 시에 따르면 기온 상승과 함께 폭염 특보가 예년보다 빠르게 발효됨에 따라 올해 폭염 종합대책을 조기 시행하고, 오는 9월 30일까지 시민 건강 보호를 위한 대응을 이어간다.
시는 지난 5월 15일부터 폭염 대책 기간을 운영 중이며, 이달부터 다음 달 말까지를 ‘중점 대응기간’으로 지정해 전 부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7월 현재까지 지역 내에서 6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실시간 상황 분석과 위기 단계별 신속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정근 영주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1일 직접 무더위쉼터 현장을 방문해 시설 점검에 나서기도 했다.
폭염 저감을 위한 실질적 조치도 본격화됐다. 시는 3일부터 살수차 4대를 투입해 도심 주요 도로에 하루 4회 이상 물을 살포하고 있으며, 풍기읍 지역까지 확대해 운영 중이다. 또 기존 37곳의 그늘막에 더해 4곳을 신규 설치하고, 쿨링포그 1곳과 스마트 승강장 14곳을 운영하고 있다. 영주역 광장에는 추가 냉각시설 설치도 추진 중이다.
무더위쉼터도 대폭 확충됐다. 실내외 215곳을 집중 관리하며, 도서관과 행정복지센터 등 공공시설 15곳을 쉼터로 새롭게 지정해 접근성을 높였다.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도 강화됐다. 시는 경로당 366곳에 냉방비를 지원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방문건강관리 인력을 동원해 3000여 명의 고령자를 주 2회 이상 모니터링하고 있다. 농촌 지역에는 마을순찰대를 활용한 농업인 예찰과 폭염행동요령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응급 대응 체계도 갖췄다. 영주소방서와 협력해 119폭염구급대(구급대원 48명, 구급차 6대)를 운영, 고온 노출 환자 발생 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시민 홍보도 강화했다. 시는 재난 전광판과 SNS 카드뉴스, 리플릿, 예경보 방송 등을 통해 폭염 행동요령과 건강 수칙을 반복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유정근 영주시장 권한대행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라며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철저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