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계 무탄소 전력에 대한 초과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전력구매계약(PPA)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4일 ‘PPA 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무탄소 전력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4대 산업의 전력수요를 무탄소 전력으로 충당할 수 있는 비율은 올해 기준 53.4%로 집계됐다. 무탄소 전력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전력원을 일컫는다.
향후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무탄소 전력 충당률이 오는 2038년 81.6%, 2042년 93.0%로 상승하겠으나, 초과수요 문제는 여전할 전망이라고 한경협은 지적했다. 2042년 부족분은 21.4TWh(테라와트시)로 지난해 서울시 전력 소비량(45.8TWh)의 47%에 달하는 규모가 부족할 전망이다.
한경협은 초과수요를 해결하기 위해선 PPA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PPA는 계약기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말한다. 한경협은 “PPA를 통해 조달할 수 있는 무탄소 전력원은 현재 재생에너지로 한정돼 있는데, 여기에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포함하면 무탄소 전력 초과수요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원전을 PPA에 포함하고 원전 이용률을 10%p 높인다면 2042년 무탄소 전력 충당률이 101.8%로 오른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밖에도 재생에너지 구매 부대비용 경감, 전력배출계수 연 단위 공고 등이 PPA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 주력산업은 경영 위기와 함께 무탄소 전력 사용 요구를 직면하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효율적으로 무탄소 전력을 수급할 수 있는 제도 환경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