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5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오는 9월부터 인하가 개시될 것으로 봤다. 금리 인하를 막는 요소로 작용하던 관세 불확실성 해소가 관측된 영향이다.
미 연준은 30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개최된 5번의 FOMC에서 모두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금리 동결 결정 배경에 대해 “최근 지표들은 상반기에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둔화했음을 시사한다”라며 “(미국의)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노동시장은 견조하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FOMC에서 연준 위원 12명 가운데 제롬 파월 의장을 포함한 9명이 금리 동결에 찬성했다. 반면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윌러 연준 이사는 0.25%p 인하를 주장했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위원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FOMC에서 연준 이사 2명 이상이 소수 의견을 낸 것은 지난 1993년 이후 처음이다.
원유승 SK증권 연구원은 “34년만에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2명 나타난 점은 비둘기파적 요소”라며 “성명서는 6월 대비 경제성장에 대한 표현이 다소 약화됐다. 그 외 실업률, 노동시장,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은 동일했다”고 분석했다.
파월 의장은 “저와 대부분 위원은 제한적인 통화정책이 부적절하게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보지 않으며 완만하게 제한적인 정책이 적절하다고 보인다”라며 “우리는 9월 회의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우리가 얻는 모든 정보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미 연준이 9월 FOMC를 시작으로 연내 2번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관세 불확실성이 희석되는 국면이기 때문이다. 원 연구원은 “연내 9월과 12월 인하해 연말 기준금리 상단 4.0% 도달을 예상한다”라며 “연준이 그동안 강조했던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국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원 연구원은 “미국은 주요 무역 대상과의 합의에 도달하면서 협상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합의된 상호관세율은 지난 4월 제시된 수치 대비 낮은 수준”이라며 “여기에 더해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실제로 일시적일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합리적인 기본 시나리오는 관세의 영향이 일시적인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며 “제약적 수준의 장기금리 지속과 소비자 수요 위축이 관세의 물가 상승을 상쇄할 수 있다. 민간 기업 중심의 고용 부진이 두드리지면 9월 인하는 불가능한 시나리오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우혜영 LS증권 연구원도 “6월 경제 전망에 따르면 실업률 상승이 전망되고 있다. 이날 가장 중요한 수치가 실업률이란 파월 의장 발언을 보면, 인하 가능성 자체가 부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따라서 고용지표 추가 둔화, 서비스 물가의 디스인플레이션 지속 등이 확인될 경우 9월 인하가 전망된다. 아울러 4분기 연속 인하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