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오성환 당진시장이 활발한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로 전국 고용률 1위를 탈환한데 이어 합계출산율도 1.08명으로 고점을 찍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국내 최대 스마트팜 조성에도 진심이다.

오 시장은 당진시가 2019년 임대형 스마트팜사관학교로 출발해 부지분양형 스마트원예단지를 거쳐 스마트팜 실습교육장·딸기 육모장 조성을 넘어 대한제강의 투자 확약도 받아냈다.
이로써 당진은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인 경북 상주, 전북 김제, 전남 고흥, 경남 밀양을 제치고 명실상부 전국 최대인 834만 9000㎡ 스마트팜 단지가 생기게 됐다.
특히 대한제강이 2028년까지 석문간척지에 조성하는 119만㎡, 5440억 원 규모의 스마트팜은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300℃의 폐열을 사용해 겨울에는 난방으로 여름에는 냉장으로 이용해 온실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연간 3만1000t의 탄소배출권을 기업에 되돌려 줄 수 있는 방안도 마련했다.
또 한 곳에 청년 임대 온실, 청년 분양 온실, 일반 분양 온실, 모델 온실, 육모장을 두루 갖춘 직접화된 단지로 조성되며 스마트팜 단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자회사를 통해 전량 매입, 판매, 육모, 가공, 유통을 지원해 주는 잇점도 얻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2단계(53만㎡), 3단계(59만㎡) 추가 조성 계획도 뒤따를 예정이다.
한편 성공적인 정책으로 나아가기 위한 행정적 절차 또한 필수다.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인가, 지역 활성화 펀드 조성, 농지 매각·매입 등 각종 인·허가 과정이 선행 과제다.
스마트사솬학교를 졸업하고 임대 농장 기간 만료후 창업이나 기업화로 나아가기 위한 컨설팅 지원 및 정책적 기틀 마련 완성, 기존 고비용 설비 투자 이후 대출 상환에 따른 압박 해소, 추가적인 저리 자금 지원은 풀어야 할 숙제다.

덧붙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충남형스마트팜사관학교 건물동이 초기 스마트팜 위주로 설계돼 온·습도 불균형을 초래 작물의 미생육을 가져와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기존시설의 개량과 더불어 전담인력 부족에 따른 외부 업체 이용으로 비용증가 및 업무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해 보인다.
당진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매년 시설 운영비로 7억 8000만 원, 시설 개·보수 8000만 원, 단기적 개선비 2억 5000만 원, 중장기적 개선비 2억 4000만 원, 온도 조절용 등 교체 14억 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6일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민선8기 4년차 도정 방향을 공유키 위해 당진시를 방문, 충남형스마트팜사관학교를 찾은 자리에서 “충남의 청년농업인 육성에 과감한 예산 투입은 물론 장기적 인프라 확충에도 관심을 기울이겠다”라며“도전하는 모습읍 보여달라고 청년농업인들에게 당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