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대위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광주 시민단체가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 서삼석 국회의원과 김산 무안군수에게 답변을 압박하며 책임 전가를 시도했다”며 “광주 군 공항 이전을 요구하는 주체는 광주시임에도 애먼 무안군과 정치인들을 윽박지르는 것은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또 “지난 6월 25일 광주타운홀 미팅 당시 김산 무안군수는 2018년 광주 민간공항 이전 합의문 파기와 광주 군 공항 이전 지역에 대한 1조 원 지원 약속에 대해 광주시를 전혀 신뢰할 수 없다고 분명히 밝혔으며 이재명 대통령도, 생중계를 지켜본 국민들도 매우 공감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주시는 그동안 내뱉은 각종 약속들이 무책임하다는 사실로 들통나자 슬그머니 꽁무니를 빼고 광주 군 공항 이전 대통령실 TF만 바라보며 나몰라라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광주 민간공항은 당초 무안국제공항 설립 때부터 국가계획과 2018년 광주시‧전남도‧무안군의 3자 협약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라고 주장했다.
또 “광주시는 그동안 군 공항 이전 결부, 무안공항 명칭 변경 등 이런저런 이유로 생떼를 부리며, 민간공항 이전은 요지부동”이라며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은 광주 군 공항 이전문제 해결의 시발점이자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조속히 이뤄져야 마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범대위는 “실현 가능한 재원 마련 계획조차 없고, 책임 있는 자리에서 동문서답으로 일관하는 광주시장의 말을 어찌 신뢰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되묻고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과 1조 원 지원 등 언행의 신뢰성을 보이고, 진정성 있는 자세로 응답”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시민협)는 성명을 내고 무안군의 ‘군 공항 이전 지자체 공모 방식’ 주장은 대통령실 차원의 논의를 원점으로 돌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시민협은 “지난 6월 25일 타운홀미팅 때, 대통령이 ‘광주 군 공항 무안 이전을 위한 6자 TF’ 구성을 지시한 후 군 공항 이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민주당과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의 난맥상을 되풀이하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또 “만약 김산 군수가 애초부터 민간 공항만 받고 군 공항은 받지 않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면 타운홀미팅에서 군 공항은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동안 광주 군 공항 무안 이전을 적극 반대해 온 서삼석 의원의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 위원장 임명에 대해서도 ‘김산 군수의 군 공항 이전 반대 주장을 강화해 6자 TF를 무력화하는 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시민협은 “광주 민간 공항과 군 공항 이전 문제가 일부 정치인들의 정치 놀음 도구가 되는 것에 반대하며,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앞세워 공약을 남발하고 호남 발전을 도외시하는 ‘나쁜 정치’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김산 군수와 서삼석 의원에게 타운홀 미팅에서 합의된 동시 이전 방향에 찬성하는지, 정부 주도의 공항 이전 및 무안공항의 서남권 대표 공항 발전 비전에 찬성하는지 답변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