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KT와 LG유플러스의 침해사고여부를 확인 중이다. 양사는 해킹 의혹에 대해 일제히 부인하며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전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해킹 전문지 프랙(Phrack)과 국내 전문가 분석을 통해 KT와 LG유플러스의 내부 자료가 해킹으로 유출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두 통신사가 침해사고로 인정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자진신고를 거부함에 따라 민관합동조사단이 구성되지 못하고 제대로 된 조사가 진행되지 않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과기정통부가 침해사고로 잠정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양 통신사의 침해사고여부 확인을 위해 현장점검 및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정밀 포렌식 분석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침해사고가 확인되는 경우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입장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날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통신)사업자들의 의견은 자체조사 결과 침해 정황을 발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진 신고에 대한 부담 등으로 인해 신고 권유에 동의하지 않았다”며 “대신 정부 권유에 따라 사실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자체 조사 결과 침해 사실이 확인된 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초 정부는 SK텔레콤 침해사고 당시 양사에 대한 긴급 현장 점검을 실시했고 1차 보안 점검에서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KT 관계자는 “현재 침해 사실이 확인된 것은 없었으나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도 “일부 언론에서 과기정통부가 잠정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으나 현재 조사 중인 것으로 밝혀진 사안”이라며 “현장 조사에 있어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KT는 정보보호 분야에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하겠다며 글로벌 수준의 보안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통3사 중 가장 많은 투자액이다. LG유플러스도 앞으로 5년 동안 7000억원의 정보보호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보안 거버넌스 △보안 예방 △보안 대응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해킹 현장조사가 반복되고 있어 주주와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이라며 “통신 업계가 현장 조사에 대해 수용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자체조사 결과 이상의 자료를 요구하는 것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