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외국인 주민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 자치구들이 외국인 정착 지원 사업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법무부 ‘이민 행정 빅데이터 분석·시각화’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서울 거주 외국인은 41만4548명으로 전체 인구(932만3492명)의 4.4%를 차지한다. 2021년(36만5132명)보다 13.5%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 인구가 2%(18만5966명)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자치구들은 문화·언어 차이로 인한 사회 적응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운영 중이다.
영등포구는 지난 7월 한국 생활 안내 책자 ‘웰컴 레터’를 발간했다. 입국·체류 정보, 의료 지원, 학교 입학, 쓰레기 분리배출, 주정차 단속, 주민 지원 시설 등을 담았고 영어·중국어 번역을 병기했다. 오는 6일에는 ‘세계인의 날 축제-학교 간 김에 세계 일주’를 열어 외국인과 지역 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자리를 마련한다. 구 관계자는 “영등포구 외국인 주민은 4만9000여 명으로 자치구 중 두 번째로 많다”며 “앞으로도 다문화 가족의 한국살이 적응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용산구는 외국인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용산 프렌즈’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는 17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7차례 열리며, 추석 연휴를 앞둔 다음 달 1일에는 명절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이 준비됐다. 가족센터 관계자는 “외국인 1인 가구는 교육·여가보다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욕구가 크다”며 “타지에서 느끼는 외로움을 덜 수 있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강남구는 외국인 수강생이 직접 강사로 나서는 요리 교실을 운영한다. 페루와 네팔 전통 음식을 중심으로 24일까지 진행된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주민 모두가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 문화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은 외국인 생활 상담을 강화하고 있다. 인플루언서 럭키·라힐·마포 로르를 ‘외국인 서울생활 도우미 120’으로 위촉해 생활 정보를 확산하고 있으며, 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몽골어 상담을 제공한다. 올해 상반기 외국어 상담 건수만 1만110건에 달했다.
전문가는 정착 지원의 핵심을 ‘정기적 소통’으로 꼽는다. 장우심 유원대 석좌교수는 “문화 이해는 포트럭처럼 음식을 나누는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며 “단발적 행사를 넘어 매달 한 번이라도 모여 일상과 문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