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드론 하드킬 근접방호체계’는 적의 중형 자폭 무인기가 아군 주요 시설이나 장비에 접근할 때 자체 탐지레이더로 이를 포착한 뒤,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오면 요격 드론을 순차적으로 발사해 격추하는 방식이다. 탐지레이더가 중거리에서 표적을 추적해 요격 드론을 유도하고, 근접 시에는 적외선(IR) 탐색기로 포착해 요격을 수행한다.
요격 성공 여부는 전자광학·적외선(EO/IR) 장비를 통해 확인하며, 요격에 실패할 경우 남은 드론으로 재차 대응할 수 있다. 방사청은 이 체계가 북한이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춘 중형 자폭 무인기를 비롯해 다양한 무인기 위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드론 무력화 방식은 파괴를 통한 ‘하드 킬’(기관포, 요격 드론, 레이저 등)과 교란·포획을 통한 ‘소프트 킬’(재밍, 네트 건 등)로 나뉘는데, 이번 사업은 직접 격추하는 하드 킬 체계다. 방사청은 기존 유사 체계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단기간 내 연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은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주관으로 10월 중 입찰 공고가 진행되며, 사업 수행 기관 선정 후 약 2년간 연구개발을 거쳐 시제품을 생산한다. 군은 오는 2028년부터 군에 배치해 성능 입증 시험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정규헌 방사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이번 사업으로 우리 군이 적 드론 위협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미래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해 민간의 축적된 첨단기술을 빠르게 군에 적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