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이 산불의 대형화를 막기 위해 발화 초기단계부터 진화활동을 지휘하기 위한 체계 마련에 나선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15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대형산불이 우려될 경우 발화 초기단계부터 산불진화 지휘권을 조기 발동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며 “이는 지자체의 초동 진압이 실패해 불길이 확산될 경우 즉시 산림청이 주도적으로 가용 공중·지상진화대를 총동원해 골든타임 내 수습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현재 산불진화는 기초자치단체이 초기 진화를 맡고, 확산 상황에 따라 광역자치단체장이, 초대형 산불로 번지면 산림청장이 총괄 지휘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이 같은 체계가 올봄 대형산불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피해가 확산됐다는 지적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김 청장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건조화와 강풍 등이 산불을 급격 확산시키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기존 체계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음이 분명해졌다”며 “지난 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을 교훈삼아 산불의 대형화가 우려되면 발화 초기단계부터 진화 지휘권을 산림청이 조기 발동하는 체계를 모색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청장은 산불대응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청장은 “접근하기 어려운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에 돌풍까지 잦아 산불 초기진화가 매우 중요하지만, 전국 각 지역에 진화자원이 분산돼 어려움이 크다”며 “산불은 발생 지역과 시점에 따라 광범위한 자원을 동시에 투입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체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다량의 항공자산을 보유한 군 및 지자체 임차헬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협력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 청장은 “산림청 보유 헬기와 군용헬기 및 지자체 임차헬기를 통합 운용하는 협력모델을 추진 중”이라며 “대형산불 현장에는 헬기 종류와 소속기관에 관계없이 통합지휘체계 아래 투입하는 시스템을 갖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해 산림청은 군 헬기가 산림청 헬기보다 진화용수 투하 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효율을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산림청 항공본부 소속 조종사가 함께 탑승하는 합동훈련을 진행 중이다.
산불 관련 루머·침소봉대 경계
또 이날 김 청장은 일부 학계와 환경단체에서 제기한 임도의 산불 확산통로설, 산림청 숲 관리정책의 대형산불 유발설 등 주장에 대해 선을 그었다.
특히 임도가 산불 확산의 원인이 된다거나 진화헬기의 로터가 산불 확산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주장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는 억측이며 침소봉대라’고 반박했다.
우선 임도와 관련해 “임도는 산불진화는 물론 산림경영, 산림휴양 등 다양한 목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최근에는 산 정상부 풍력발전기 활용 등 재생에너지 시설을 위해 활용되는 등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산불 피해지역의 복원에 대해서는 현장 상황에 맞춘 생태복원과 자연복원의 공존을 제시했다.
김 청장은 “산불 대응정책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풍문이나 비과학적 주장보다 실측자료와 AI를 활용한 기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날 김 청장은 국산목재 이용 확대, 남북 산림협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김 청장은 “산불진화 경험을 바탕으로 대형산불로 확산되지 않도록 관련 부처와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대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국민들이 산림청에 산불진화 지휘권을 믿고 맡길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