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척시의회(의장 권정복)는 16일 제266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석탄과 시멘트 산업의 중심지로 국가 산업화에 헌신했던 삼척이 이제는 가속화된 침체와 폐광의 아픔 속에 방치돼 있다"며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삼척~강릉 고속화 철도는 단순한 교통망이 아니라 동해안 산업·관광의 대동맥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삼척~강릉 구간은 1940~1960년대에 개통된 기존 선로로, 굴곡이 심한 해안·산지 구간을 따라 설계돼 현재까지 시속 60㎞ 수준의 저속 운행에 머물고 있다. 동해안 철도 전 구간이 시속 200~250㎞급 고속화를 추진하는 것과 비교하면 명백한 단절 구간이다.
삼척~강릉 고속화 철도사업은 총연장 45.8㎞, 사업비 약 1조 3000억 원 규모로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고, 지난해 2월부터 기획재정부 예타 절차가 진행 중이다. 강원특별자치도와 동해·삼척·강릉시는 예타 통과를 위해 공동 대응 회의와 정책토론회를 이어왔으며, 지난 7월 국회에서도 별도의 정책토론회가 열린 바 있다.
시의회는 성명에서 "삼척~강릉 고속화 철도를 직선화하고 시속 200㎞급으로 고속화하면 수도권 관광객의 당일 방문이 가능해지고, 동해안 물류도 전국으로 빠르게 연결된다"며 "이는 동해안의 산업·관광·삶을 함께 이어주는 생명의 통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반드시 조기 착공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는 예타 발표와 동시에 착공에 나설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