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트윈 물관리, 실리콘밸리 진출'… 수자원공사-캘리포이나밸리워터 협약

'AI·디지털트윈 물관리, 실리콘밸리 진출'… 수자원공사-캘리포이나밸리워터 협약

홍수·가뭄 물재해 대응, 산업용수 공급 분야 기술협력 협약체결
밸리워터 댐, 정수장, 관로, 지하수시설 디지털트윈 구축
강우량, 하천수위, 댐 운영 분석, 스마트 용수 생산배분 지원
양국 물관리 공공기관 AI 협력, 한국 강소기업 동반진출 기대

기사승인 2025-09-19 11:46:58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산타클라라 물관리 공공기관 밸리워터 리타 찬 수석부사장과 '디지털트윈 물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한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왼쪽).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개발한 초격차 물관리 기술인 디지털트윈 플랫폼이 미국 실리콘밸리로 진출하며 글로벌 인공지능(AI) 물관리 시장에 성큼 다가섰다.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산타클라라 물관리 공공기관 ‘밸리워터(Santa Clara Valley Water District)’와 '디지털트윈 물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협약(MoA)'을 체결했다.

밸리워터는 구글, 애플, 엔비디아 등 빅테크가 밀집한 실리콘밸리를 포함한 산타클라라 전역 220만 명에게 용수를 공급하고, 10개 댐을 운영하며 홍수·가뭄 관리, 하천 및 지하수 관리를 담당하는 캘리포니아주정부 공공기관이다. 우리나라 수자원공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산타클라라 지역은 건설 100년에 가까운 노후 댐 관리, 반복되는 가뭄, 상수원 부족 등 복합적인 물 문제를 겪고 있다. 

여기에 첨단산업 성장으로 데이터센터 냉방 및 반도체 세척에 필요한 물 수요가 꾸준히 늘어 디지털트윈,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물관리 해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밸리워터는 현지에 있는 세계 유수 디지털트윈 전문기업의 사업제안에도 한국형 디지털트윈 물관리 모델의 경쟁력을 높이 평가하며 물관리 난제를 해결할 파트너로 수자원공사를 선택했다. 

이번 결정에는 수자원공사가 물재해 등 위기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구축하고 지난 5년간 5대강 유역에서 실증하며 쌓은 운영 노하우가 경쟁우위로 작용했다. 

특히 AI정수장으로 지난해 세계경제포럼에서 글로벌 등대상을 수상하고, 사우디·일본에 댐관리 디지털트윈을 수출하며 세계시장에서 입증한 역량도 파트너십에 힘을 보탰다.
수자원공사는 향후 밸리워터와 계약조건 및 기술협력 범위를 구체화하고, 사업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후 본격 사업에 착수하면 밸리워터가 관리하는 댐뿐 아니라 정수장, 관로, 지하수시설까지 실제 물 환경을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구현하고 강우량, 하천수위, 댐 운영현황 등 유역 내 모든 물관리 요소를 실시간 연계분석해 스마트 용수 생산과 배분을 지원할 계획이다. 

리타 찬 밸리워터 수석부사장은 “이번 협력으로 수자원공사로부터 물관리에 관한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고 밝혔다.

윤 사장은 “대한민국의 AI와 디지털기반 물관리 해법이 글로벌 혁신 심장부인 미국 실리콘밸리에 진출하는 것은 글로벌 물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는 데 있어 의미가 크다”며 “이번 성과를 발판으로 국내기업과의 동반 진출을 확대하고, 디지털트윈과 AI를 결합한 초격차 물관리 기술을 고도화해 AI 3대 강국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