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 여부를 두고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여야가 충돌했다.
운영위는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오는 11월 열릴 국정감사 계획서와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안건을 논의했다. 증인 명단은 11명으로 꾸려졌지만 김 총무비서관은 포함되지 않았다.
총무비서관은 대통령실 예산과 인사를 총괄하는 자리로, 역대 정권마다 대통령의 신임을 받은 인물이 맡아왔다. 김 총무비서관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부터 함께해온 최측근으로, 여권 내부에서 ‘성남 라인’의 핵심으로 불린다.
민주당은 불필요한 정쟁을 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당 간사인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김 총무비서관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진 비서실장이 증인으로 채택돼 있어 국정감사에는 지장이 없다”며 “보통 정부 출범 6개월은 허니문 기간으로 협조적인 게 관례인데, 국민의힘은 정쟁으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맞섰다.
반면 국민의힘은 관례를 깨는 조치라며 반발했다. 야당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총무비서관은 14대 국회 이후 단 한 번도 증인에서 제외된 적이 없다”며 “김 총무비서관이 절대 불러서는 안 되는 존엄한 존재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대통령의 최측근이라고 평가받는 인사를 국회에 보내지 않는 것은 뭔가 숨기는게 있어서 출석을 막는 것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도 “1987년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의 총무비서관은 모두 국감에 출석했다”며 “인사와 재무, 행정을 총괄하는 핵심 자리가 빠지면 국감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양측의 공방이 이어지자 운영위원장인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증인 채택 안건을 표결에 부치지 않고 간사 간 협의를 이어가도록 했다.
